지난 3월 17일자 ‘중대신문’을 읽고 난감했다. 단 한 호의 신문을 접하고 비평을 한다는 게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특히 기자들의 힘든 일상, 매주 쾌적하지 않은 학보사에서 수업과 과제를 뒤로 한 채(?) 기사를 취재하고 밤샘 집필을 해야 하는 고된 현실이 눈을 찌른다. 언론사 조직 시스템이 기자들의 열정과 희생으로 가동되는 상황에서 힘이 될지 모르나 기자들의 노고에 부응하며 소견을 제시해 본다.
 
  이번 호의 눈에 띄는 기사는 대략 세 가지다. 우선, 보도기획이다. ‘긴 터널에도 끝은 있다’는 비정규직 노동자인 중앙대 환경미화 노동자들의 용역업체와의 교섭상황과 근무환경 등을 연대기적 방법으로 기록하였다. 휘발성이 가득한 말들과 달리 문자의 기록은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일련의 노동자들의 요구와 행동들, 그리고 용역업체가 바뀐 상황까지 일련의 과정들을 물질화해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덧붙여 전반적으로 갈등의 봉합 국면을 긍정적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사건의 진행과정에서 발생한 제 입장들의 오해와 갈등, 그리고 미해결된 문제들에 대한 명확한 진단이 후속기사로 이어지면 좋겠다.
 
  두 번째는 ‘트렌드 진단서’ 면에 실린 마을 공동체 기사다. 이번 호에는 ‘은평 독거청년 네트워크’를 다루며 공동체의 형성 배경과 활동, 사회적 의미 등에 대한 참여관찰과 인터뷰 기사가 돋보였다. 청년실업이 심각한 상황에서 개인주의를 벗어난 사회적 관계망의 생성이 흥미롭고 신선함을 주기 때문이다. 사이버공간의 집단지성 만큼이나 직접 대면하며 공동작업을 실행하는 사례들은 지속적 조명이 필요하다. 다만, 김성윤 강사의 말처럼, 마을 공동체 사업에 대한 “낭만적 감정” 이면에 있는 구성원 간의 갈등이나 “여러 이해관계”의 복잡한 속사정들을 더 드러낼 필요가 있었다. 기자의 발품에도 기사 내용이 마을 공동체와 청년들의 활동에 대한 건조하고 평평한 정보전달에 그쳤고, 생생한 체험들의 묘사나 현실 장벽들에 대한 문제 도출은 부재했기 때문이다. ‘임상실험’의 ‘흑모것’ 기사도 실험 참여자들의 ‘특별한’ 체험현장과 인터뷰를 통한 입체적 접근이 아쉽다.
 
  마지막으로 독서문화를 고려한 ‘인문학 권장도서 60선’이나 ‘국제’면에 실린 유학생들의 인터뷰도 흥미로웠다. 특히 전자는 다양한 독서를 통해 공감능력을 키울 때 디지털 시대의 ‘기술적 상상’을 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후속기사가 기대된다. 학생·교직원 참여 독서캠페인을 기획, <중앙문화>, UBS 등 대학언론들과 에피소드들을 공동 취재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덧붙여 힘든 작업 환경이겠지만 기자들의 치열한 시대정신과 촉각적인 글쓰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