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 용어에 ‘호구’라는 게 있다. 호랑이의 입 속이라는 뜻으로, 바둑돌 석 점으로 둘러싸인 한가운데를 뜻하는 말이다. ‘호구’에 놓은 돌은 반드시 따먹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호구’에 돌을 두는 건 상대에게 바둑돌 한 알을 거저 내 주는 행위다. 이에 빗대어 어수룩하고 남에게 이용당하기 쉬운 사람을 두고 흔히 호구라고 부른다. 그런데 얼마 전에 호구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봤다. 학생회비를 그대로 내는 사람이 호구란다. 눈뜨고 코 베이는 요즘 세상에 호구가 설 곳이 어디 있나. 만사에 민감하고 계산적으로 살아야 평범하게나마 지내지, 멍청하게 정신을 놓고 있으면 여기 뜯기고 저기 뜯긴다. 아, 무섭다. 그런데 생각해 보니 난 학생회비를 그대로 낸 사람이다. 아니, 그렇다면 나는 호구란 말인가?
 
  학생회비가 무엇인가? 학생회비는 일 년 동안 학과에서 행하는 사업에 필요한 비용이다. 개강총회와 MT를 비롯한 대부분의 행사는 이 학생회비를 통해 이루어진다. 학교에서 이런 행사를 전부 지원해 주지 않으니 학생의 힘을 통해 따로 자금을 조달해 치러내는 것이다. 너희가 고등학교에서 그토록 갈구하던 자율의 뜻이 바로 학생회비에 있다. 그런데도 학생회비를 그대로 내는 사람을 두고 왜 호구라고 하는 걸까?
 
  그건 아마 학생회비가 투명하게 관리되는지에 대한 우려에서 기인했을 것이다. 예술대 특성상 학생회비는 3~40만원에 이르는 큰 액수다. 학생회비는 비공식적인 자금이며, 특정 집단에 의해서 운용되므로 그 관리가 폐쇄적이기 쉽다. 학생회비의 사용처를 아예 밝히지 않거나, 밝히더라도 자금을 현금으로 인출해서 사용할 경우에는 투명성이 보장되기 어렵다는 점에서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사실 학생회 부정 문제는 예전부터 지적되어 왔으며 실제로 많은 사건이 기사화되기도 했다.
 
  그러나 너희는 호구가 아니다. 우리는 학생회 사용내역을 전면 공개하고, 대부분의 거래는 카드로 행하여 증거를 남겨 놓는다. 부득이 현금을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영수증을 발급받고 사진(우리는 사진과니까.)을 찍는다. 이 모든 정보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공개되어 누구라도 필요할 때 조회할 수 있다. 나는 투명한 관리의 첫 번째 조건은 개방·접근성이라고 생각하고, 이 점에 있어서는 우리가 최고라고 자부한다.
 
  또, 학생회비 사용내역에는 그 목적을 분명히 밝히고 매 학기 말에는 통장 입출금내역을 출력하여 대조할 수 있도록 했다. 즉, 우리가 너희를 감시자의 자리에 앉혀 놓았다는 뜻이다. 학생회비가 불법적으로 사용되거나 별개의 루트를 통해 새는 일이 있다면 쉽게 찾아낼 수 있도록 증거자료를 미리 제출한 셈이다.
 
  내 역할은 너희를 호랑이 입 속에 두는 게 아니라 그 호랑이 입속에서 빼내는 것이다. 너희는 호구가 아닌 우리가 챙겨야 할 가족이다. 학생회는 학생의 복리복지를 위해 존재하는 자치 기구다. 학생회의 일원으로서, 학생회의 총무로서, 그리고 한 학생이자 너희의 선배로서 너희 중 어느 한 명도 호구로 만들지 않겠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