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신문 1813호 1면에는 공대 학생회장의 사과문이 실렸다. 독단적인 신문 수거로 학생들의 알 권리를 훼손시킨 점을 반성한다는 이 글은 중대신문과 공대 학생회장이 가진 세 차례 회동의 결과물이다. 중대신문은 신문 수거가 학생들의 알 권리를 훼손시킨 엄중한 사안임을 인식시키고 뜻밖의 신문 수거로 피해를 본 학우들에게 사과해줄 것을 요청했다.
 
 김영호 공대학생회장은 개강 전날 교내 곳곳에 배부된 중대신문 1812호(3월 3일자) 대부분을 수거했다. 1면 기사의 “모든 단과대 학생회 측은 안정상의 문제와 사회적 분위기를 고려해 새터 연기에 동의했다”는 표현이 자칫 단과대 학생회가 준비해 온 기존의 새터가 안전하지 않다는 방향으로 읽힐 수 있음을 우려해 우발적으로 신문을 수거했다고 밝혔다.
 
 공대학생회장이 우려한 기사의 제목은 ‘체대 제외한 모든 단과대 새터 연기’이다. 새터가 연기된 사실과 사유를 설명하고, 변동된 일정을 소개하는데 무게가 실린 기사였다. 축약된 표현이 중의적으로 읽힐 수 있다는 한계를 고려하더라도 “새터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개강 이후로 새터를 연기하겠다고 밝혔다”는 리드로 시작하는 기사가 잘못됐다고 받아들이긴 어렵다.
 
 중대신문은 학내에 배포되는 유일한 대표 신문으로서 책임 있는 태도를 보이고자 노력해왔다. 기사의 경중과 관계없이 이해관계가 얽힌 모든 이들을 인터뷰하고자 했으며, 인터뷰이가 인터뷰 중에 내뱉은 말을 번복하더라도 그 말을 오해없이 전달하고자 노력했다. 오보에는 엄정하게 대처하고 취재원의 불만은 열린 태도로 받아들이는 언론을 지향해왔다. 중대신문에 실리는 다수의 ‘알립니다’는 학내 구성원들의 목소리를 정확하게 반영하고자하는 노력의 산실이다.
 
 1면 기사 역시 양캠 총학생회장을 포함해 10명이 넘는 학생대표자들의 인터뷰를 토대로 작성됐다. 문제가 된 30자 남짓한 문장에는 오프더 레코드(취재원이 비보도를 전제로 제공한 정보)를 수용하며 생략된 맥락과 사안을 원만히 해결하고자 하는 학생대표자들의 바람이 담겨 있다. 공대학생회장에게 수차례 전화 통화를 시도하고 질문지를 첨부한 이메일을 보냈음에도 답변을 받지 못한 중대신문으로서는 인터뷰는 회피하면서 지면화된 기사에는 날선 비판을 서슴지 않는 태도가 오해를 낳은 것 같아 안타깝다.
 
 특히 학생들의 알 권리를 수호하는 학내 언론으로서 중대신문은 교내에 배포된 신문 전량을 수거한 공대학생회장의 돌출적인 행동을 묵인할 수는 없었다. 독단적인 판단으로 학우들의 알 권리를 손쉽게 외면한 ‘신문 수거 사태’는 권력을 가진 특정 세력이 학생들의 눈과 귀를 손쉽게 막아버릴 수 있는 위태로운 언론의 현주소를 드러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해명 칼럼이나 인터뷰 등 오해를 해소할 수 있는 창구가 많음에도 신문 수거라는 극단적인 수단을 먼저 떠올린 건 알 권리를 가볍게 생각하는 태도가 바탕이 됐다는 혐의를 피하긴 어려울테다.
 
 특정 세력이 정보의 흐름을 막는다면 건강한 여론 형성과 합리적인 의사결정은 요원해진다. 신문 수거 사태를 신문을 하룻밤 도난당한 우발적인 해프닝으로 축소할 수 없는 이유이다. 이번 일을 본보기 삼아 다시는 특정 집단이 신문을 수거하는 사태가 벌어지도록 해선 안 될 것이다.
 
 돌발적인 행동으로 독자들의 알 권리를 훼손했음에도 사과하는 건 큰 용기가 필요한 일이다. 마지막으로 책임 있는 태도를 보여준 공대 학생회장에게 박수를 보낸다. 공대 학생회장의 사과문이 언론의 자유를 수호하는 기틀을 조성하는데 큰 힘이 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