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여 존폐를 두고 공방이 오간 건 어제 오늘이 아니다. 서울캠 총여학생회(총여)가 총여학생회장이 부재한 상태로 운영됐기 때문이다. 2009년 비대위 체제로 돌입한 이후에 2011년 백시진 前서울캠 총여학생회장이 활동하던 시기를 제외하면 조직의 대표자가 부재했으니 무리는 아니다. 총여의 총학생회 부속기구화가 거론된 것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였다.
 
  총여의 존폐론은 ‘총여는 여전히 필요한가’를 고찰한 결과라기보다는 총여학생회장의 부재와 운영난이 가중되며 수면 위로 떠올랐다. 즉 조직이 정상적으로 운영되면서 여권 신장을 위한 각종 활동을 펼쳐 지지를 얻는다면 총여는 다시금 존재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안성캠 총여학생회가 다수의 지지를 얻으며 활동하고 있는 것 역시 이를 방증한다.
 
  이번에 총여 선거관리위원회가 구성되지 않은 건 총여 존폐와는 별개의 문제다. 후보 추천이나 홍보 활동이 불가능해지면서 ‘절차의 합리성’을 의심할 여지가 생겼기 때문이다. 총여 선관위가 부재한 상황에서 ‘총학생회의 개입이 불가능하다’는 엄격한 원칙론을 근거로 방관한다면 중선관위는 도의적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
 
  선관위 구성에 도움을 준다고 해서 이를 권력 남용이나 개입이라고 비판할 수는 없다. 사실상 총여 선관위를 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단위가 중선관위밖에 없는 상황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중선관위가 총여 선관위를 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바가 있다면, 중선관위의 토론과 회의를 통하여 도움을 주어야 옳다. 여전히 중앙대의 여권 보호를 위해 총여가 필요한 상황에서 중선관위가 총여 선관위 구성 문제를 방관해선 곤란하다. 중선관위의 결단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