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일간지들도 보도하지 못한 인천캠퍼스 건립의 알짜배기 정보를 전하러 온 친절한 이시범 기자입니다. 지난 13일 인천캠퍼스 건립을 위한 기본협약이 체결됐습니다. 절차를 한 단계 더 밟았다는 의미에선 진일보한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이번 기본협약 체결이 인천캠퍼스 건립을 위한 위대한 한 걸음일지는 의문인 상황입니다.

  현재 중앙대는 복합개발시행자가 캠퍼스타운 조성 사업을 도맡고 인천시가 토지를 출자하는 형태의 SPC를 구성해, 개발이익 중 2,000억 원을 인천캠퍼스 건립비로 지원받는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부동산 경기만 좋았어도 많은 기업들이 복합개발시행자 공모에 참여해 2,000억 원보다 많은 건립비 지원을 기대할 수도 있었겠죠. 사업의 수익성이 좋다면 2,000억 원보다 많은 돈을 지원해줘도 이윤이 남을 테니 말입니다.

  하지만 부동산 경기는 좋아질 기미가 안 보입니다. 흔히들 ‘짓기만 하면 팔리던 시대’는 지났다고들 하죠. 부동산 경기가 돌아와도 예전만은 못할 것이라는 말입니다. 인천캠퍼스가 들어설 곳인 검단 2지구와 그 주변의 부동산 상황은 특히나 좋지 않습니다.

  우선 검단 2지구는 인천시-인천도시공사·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택지개발지구로 지정했다가 사업성 악화로 지난 10일 택지개발지구 지정이 취소된 지역입니다. 애초 계획에서 중앙대와 인천시는 694만㎡(약 210만평)의 택지개발지구 안에 인천캠퍼스를 건립할 예정이었습니다. 하지만 택지개발지구 지정 취소로 중앙대는 이 지역 중 약 100만㎡(약 30만평)을 도시개발지구로 지정, 이를 개발해 인천캠퍼스를 건립하는 것으로 계획을 수정했습니다. 즉 LH가 개발하려다 포기한 지역을 개발해 인천캠퍼스를 건립하겠다는 것이죠. 하지만 부동산 경기가 크게 나아지지 않은 상태에서 도시개발지구로 지정한다고 사업성이 돌아오진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검단 2지구와 인접한 김포한강신도시의 경우 미분양 아파트가 3,500가구 가량 돼 미분양 해소를 위한 갖가지 대책을 쏟아내는 실정입니다. 도시계획·부동산학과 허재완 교수는 “현실적으로 부동산 경기가 회복된다고 해도 이 지역에서 2,000억 원 이상의 개발이익을 내긴 어렵다”며 “개발이익만으로 캠퍼스를 건립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중앙대가 SPC 구성을 통해 2,000억 원의 인천캠퍼스 건립비를 지원받는 게 사실상 어려워질 경우 세 가지 대안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인천시가 보다 적극적으로 건립비를 지원해주는 방법, 대학본부와 학교법인이 인천캠퍼스 건립에 보다 많은 돈을 투자하는 방법, 다른 지역을 모색하는 방법이 그것입니다.

  인천시가 건립비를 지원해주는 방안의 경우 인천시의 재정상황이 관건입니다. 하지만 ‘인천시 재정위기 극복을 위한 범시민협의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인천시의 예산대비 부채비율은 35.1%에 달하고 인천도시공사의 부채비율은 356%에 육박합니다. 게다가 인천시는 내년에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있어 부채비율은 더 늘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인천시가 중앙대 인천캠퍼스 유치를 최우선순위로 두지 않는 이상 인천시의 지원을 기대하긴 어려운 상황입니다.

  대학본부와 학교법인의 추가 투자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SPC 구성을 통해 2,000억 원을 지원받더라도 5,000억 원 이상의 건립비를 마련해야하는 상황에서 2,000억 원의 추가 투자는 큰 부담이기 때문입니다.
보다 많은 재정지원이 가능한 지역을 모색하는 것도 인천시와 기본협약을 맺은 현재부턴 불가능합니다. 신캠퍼스 건립은 사실상 한 지역만 가능한데 여러 지역과 협약을 체결하는 것은 신의성실의 원칙에 위배되기 때문입니다. 박상규 기획관리본부장(응용통계학과 교수)은 “인천캠 건립을 위해 도시개발지구를 지정하면 그 곳 주민들의 재산권을 제약하게 되기 때문에 다른 지역을 모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한마디로 현재 신캠퍼스 건립은 총체적 난국에 빠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다 할 구체적 안이 없으니 대학본부나 인천시가 낙관적 희망에만 기대를 걸고 있는 이유도 이해는 갑니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