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가 특수목적법인(SPC)을 구성하지 못해 인천캠퍼스 건립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애초 지난 4일에 본 협약을 체결하기로 했던 중앙대와 인천시는 본 협약을 30일로 늦추며 조심스런 행보를 보이고 있다.


  중앙대는 지난해 5월 인천시와 변경 양해각서를 체결하며 2000억 원의 지원금 대신 부지 10만평을 추가로 받았다. 인천시의 재정난으로 2000억 지원이 어려워지자 토지를 개발한 수익으로 캠퍼스타운을 조성하기로 노선을 변경한 것이다. 이번에 특수목적법인(SPC) 구성이 어려워진 이유는 부동산 경기가 침체돼 토지개발로 2000억 원 이상의 수익을 기대하기 힘들어졌다는 데 있다. 이대로 부동산 경기 냉각이 지속될 경우 인천캠퍼스 추진은 무산될 수도 있다.


  인천캠퍼스 무산이 갖는 의미는 크다. 애초의 구상대로라면 새롭게 기획된 ‘소프트웨어’를 담는 ‘하드웨어’가 사라진다는 걸 의미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하남과 서울캠퍼스, 검단을 잇는 멀티캠퍼스 구상이 하남캠퍼스 무산으로 돌아갈 때의 학내 반응은 냉담했다. 캠퍼스 신설을 전제로 한 변화는 학내 구성원들의 기대감과 뿐만 아니라 피로감도 높였기에 캠퍼스 신설이 난항을 겪을수록 학생들은 흔들릴 수밖에 없었다.


  학내 여론을 다잡기 위해서라도 중앙대는 인천캠퍼스가 무산될 경우를 대비해 기획해놓은 로드맵을 공개할 필요가 있다. ‘인천캠퍼스 건립’을 노심초사 하며 보고 있는 학생들이 갑작스레 인천캠퍼스 무산을 맞는다면 공황 상태가 올 수 있기 때문이다. 중앙대가 혹시 모를 무산에도 대비하고 있다는 ‘안정감’이 학생들에겐 절실하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