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구조조정 공동대책위원회의 반대로 ‘인문사회계열 학문단위 재조정 공청회’가 무산됐다. 구조조정 당사자들은 학문단위 구조조정 안을 조정할 협의체 마련을 요구하며 공청회 거부 연좌농성에 돌입했다. 공동대책위원회는 협의체 구성에 동의해 줄 것을 김호섭 부총장에게 요구했으나,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차 구조조정과 관련된 첫 공청회인 이번 공청회의 의미는 크다. 그렇기에 바라보는 이들이 공청회 무산에 느끼는 아쉬움 또한 적지 않다. ‘공청회’가 아닌 구조조정안을 조정할 회의가 필요하다는 공동대책위원회의 주장은 십분 이해되지만 대화의 기회를 잃었다는 건 양측에게 큰 손실이다.


  구조조정 공청회들은 대체로 소모적으로 끝났었다. 구조조정안을 원천적으로 재고해야 한다는 학과 측과 구조조정을 강행해야 한다는 본부측의 날선 공방이 오고갔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당사자들은 의견 반영 없는 학교의 강행을 비판하고 대학 본부는 의견수렴 과정에 문제는 없었다고 일축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공청회는 유일한 대화의 창구이자 기회라는 걸 양측이 잊어선 안된다.  


  의견은 들어주더라도 입장은 수정할 수 없다는 자세는 아무런 도움이 안 된다. 대학본부로선 ‘불통’의 이미지에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으며, 당사자들로선 의견 반영 없이 구조조정 ‘당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교의 발전과 소수학생들의 희생을 방지하기 위해 감정적으로 대립하기보다는 서로의 협상력을 높여 사태를 원만히 해결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