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진행된 안성캠 55대 총학생회 선거가 74.4%라는 전례없는 높은 투표율을 기록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그간 투표율이 50%대에 머무르며 간신히 성사 기준을 넘나들었던 것을 고려했을 때 환영할만한 일이다.


  낮은 투표율로 고민하는 것은 비단 중앙대만의 문제가 아니다. 그간 대부분의 대학들이 낮은 투표율로 인한 선거 무산으로 진통을 겪어왔다. 이는 최근 대학사회의 화두로 대두된 학생자치의 위기와 맥을 같이한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중앙대를 비롯한 몇몇 대학은 전자투표제를 채택했다. 서울캠의 경우 2011년부터 인트라넷 전자투표제를 시행중이며 안성캠에선 중앙대 포탈을 이용했던 투표 방식을 올해부터 인트라넷 투표소 방식으로 개편했다. 


  지난해에 비해 20% 이상 상승한 안성캠 총학생회 선거 투표율은 상대적으로 절차가 간소해진 투표 방식 덕분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하지만 투표방식의 간소화만이 답은 아니다. 유권자들의 손이 갈만한 후보자가 없다면 애써 바꾼 제도도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서울캠의 경우 전자투표제를 시행했던 지난 학기에도 투표율은 약 57%에 머물렀다. 전자투표제를 도입했던 다른 대학들 중 여전히 낮은 투표율을 보이는 곳도 상당수다.


  투표 방식의 변화로도 안된다면 이제 마지막 남은 열쇠는 후보자들뿐이다. 양캠 총학생회 선거 무산으로 골머리를 앓았던 것이 불과 2년 전이다. 지난 날의 악몽을 되풀이 하지 않도록 선거에 임하는 후보자들의 노력이 필요한 시기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