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호, 중대신문 1777호를 보면, 교육을 큰 주제로 삼았다. 그래서 톱기사가 ‘교육역량 강화에 4억여 원 추가 투입’이다. 김성호 기자가 심혈을 기울여 쓴 것이다. 그 옆의 기사, ‘이제 연구주제 겹칠 일은 없다’는 제목의 김순영 기자의 글도 좋았다. 3면의 ‘대학보도’편 ‘교육조교 소리 없는 아우성 수면 위로 떠올랐다’는 이현규 기자의 취재, 그리고 맨 마지막 사설 ‘조교 제도 점검 계기로 삼아야’까지, 대단히 훌륭했다. 또한, 교환학생제도에 대한 심층기획기사도 참 좋았다. 객관적인 선발기준과 선발시기는 물론이고 선발되기 위한 각종 노하우까지 제공하여 교환학생이 되기를 희망하는 학우들의 갈증이 해소되었다고 본다. 이런 기획기사가 많아져야 한다. 이렇게 일맥상통하며 부드럽게 이어지는 대학신문이란 우리 중대신문 아니고는 쉽지 않은 일이다. 여기까지 칭찬이고 격려다.


  아쉬운 점을 한 가지 말하겠다. 15면 학술지면은 헤드라인을 신중하게 뽑았어야 했다. 경제민주화 특집 시리즈 가운데 두 번째 시리즈로 ‘헌법적 해석 및 정책과의 상관관계’편이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경제민주화를 둘러 싼 헌법적 고찰’이라고 압축할 수 있다. 그러나 법학자들 사이에서는 거센 반론이 있을 수 있는 위험한 내용이다. 이것을 편집자는 ‘신자유주의, 민주주의 부정하는 반 헌법적 질서’라고 큰 제목을 달았다. 물론 본문을 인용한 것이다. 그러나 편집자의 분명한 오독이며 논리 비약이다. 그 글에는 신자유주의에 대한 압축된 설명도 없다. 이렇게 되면 선동이 된다.


  언론은 정론직필이 중요하다. 특히 외부 필자의 글은 반드시 어느 한 편에 치우치지 않도록 균형 감각 있게 실어야 한다. 그게 아니라면, ‘본 칼럼은 본지의 의견과 다를 수 있다’ 라고 그 말미에 짧게 기재하여야 한다. 혹여, 필자가 그렇게 큰 헤드 카피까지 적어 보내왔다면 편집자가 필자와 신중히 협의하였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
 

이대영 공연영상창작학부 교수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