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지난 2일 발표된 장회익 교수의 논문 '새로운 생명가치관의 모색:
환경윤리는 어디에 바탕을 둘 것인가?' 일부를 발췌해서 정리한 것이다
-----------------------------------------------------------

인간의 생명가치에 대한 고찰이 인간 아닌 다른 생물이 지닌 생명에까지 확
장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그 어떤 합의도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크게 달라지고 있다. 이른바 환경문제에서 보듯이
이런 문제들이 이론상의 관심사가 아닌 심각한 현실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현재 거론되고 있는 주장들을 크게 구분해 본다면 대
략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관점으로 대별할 수 있다. 그 하나는 종래의 계몽사
상의 연장선에 서 있는 인간중심적 관점이며, 다른 하나는 새롭게 대두되는
생태사상을 그 바탕에 둔 비인간중심적 관점이다.

전자는 인간의 생존여건 향상을 위한 최근의 노력들이 오히려 환경을 심각
하게 훼손시키고 있음이 사실이나, 이는 우리의 무분별한 개발정책과 방만한
생활태도가 초래한 부작용에 해당하는 것일 뿐 인간을 중심에 둔 가치의 문
제와는 무관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이러한 인간중심적 관점에 비해 좀더 깊은 생태사상을 바탕을 둔 후자의
비인간중심적 관점에서는 바로 이러한 인간중심적인 개발 그 자체가 환경문
제의 주범이므로 이러한 인간중심적 사고를 폐기하고 생태계의 내재적 가치
를 부여하는 새로운 사고의 틀을 찾아나가야 한다는 입장을 취한다.
바로 이 시점에서 인간중심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한 생명가치에 대한
그 어떤 규정이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현대과학은 지구상의 생명은 긴밀한 시공적 연계를 통해 구성되는 하나의
정합적 체계를 이루고 있으며, 모든 개별 생명체들은 이 하나의 정합적 체계
이루는 부분들에 해당된다는 것을 즉 온생명을 밝혀내었다..
생명이 지닌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특히 생명의 성격을 논의함에 있어서
온생명과 개체생명 사이의 관계는 대단한 중요성을 지니게 된다.
이와 관련해 특히 흥미로운 점은 온생명 안에서 차지하고 있는 인간의 위
치이다. 인간은 최초로 자신이 속한 생명의 전모 즉 온생명을 파악하는 존재
가 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인간의 출현을 온생명의 입장에서 생각해 본다
면 이는 예사로운 일이 아니다. 자신의 내부로부터 자신을 파악하는 존재가
발생했다는 것은 곧 자기가 자기 스스로를 의식할 수 있는 단계에 도달했다
는 의미가 되기 때문이다.

생명과 인간에 대한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제 생명가치란 것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 것인지 좀더 자세히 살펴 보기로 하자. 앞서 살펴 본 바와 같
이 생명을 단순히 개체생명의 입장에서만 고려할 경우 개체생명들이 지닌 가
치의 경중을 논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다.
그러나 생명의 성격을 단지 개체생명 속에 담긴 내용으로만 보지 않고 온
생명이라는 큰 틀을 통해 파악할 경우 사정은 크게 달라진다.
물론 개체생명들이 지닌 가치를 그들 자체만으로 절대적인 어떤 것으로 또
한 온생명이란 그 어떤 절대자를 위한 종속적 개념으로도 보지 않으면서 개
체생명들이 지닌 상대적 가치를 논의한다는 것은 무척 어렵고도 조심스런 일
이다.

그러나 우리가 온생명 중심의 가치관을 의미있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온생명의 이상적 존재양상에 대한 그 어떤 구체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 하나의 예로서 지난번 리오 환경회의 이래 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제창
되는 이른바 `생태적으로 건전한 지속가능한 개발'의 문제를 생각해 보자.
우리는 온생명의 관점에서 이것이 과연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지
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우선 그 표현 자체만 놓고 보더라도 여기에는 설
혹 "생태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성격을 지닌다"는 조건을 전제로 달아
놓기는 하였으나, 이러한 조건 아래 허용되는 최선의 개발을 취하겠다고 하
는 다분히 인간중심적인 사고가 도사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간중심적 사고와 온생명중심적 사고에 커다란 차이가 발생할 또 한가지
사례는 살상에 관한 문제이다. 온생명의 관점에 입각해 본다면 온생명의 주
요 기관에 해당하는 생물의 `종'과 이 안에 속하는 단일 개체 즉 단일 `유기
체'는 그 중요성에 있어서 차원을 달리하는 존재이다. 그러므로 종의 존속에
무관한 범위에서 단일 유기체를 살상하는 것과 하나의 종을 말살시킬 위험을
지닌 살상행위는 엄격히 구분해야 한다.

온생명 중심의 생명가치관은 기존의 여러 생명가치관과 큰 차이를 가지는
것이 사실이지만 우리의 전통사상 속에는 모종의 직관에 의해 이것의 핵심적
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전수해 온 사례들이 적지 않다. 그러므로 이제 우리가
이러한 전통사상들을 온생명적 관점을 통해 재조명함으로써 전통사상의 주요
내용을 재인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생명가치관을 기존의 문화적 전
통과 발전적으로 융합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