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차 SNS를 이용한 학생 활동 홍보가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까지 학내 게시판은 ‘쓸모 있는’ 정보통이다. 이병훈 교수(사회학과)는 “최근 온라인의 비중이 커지고 있지만 여전히 오프라인 게시판은 주요한 정보전달 공간 중 하나”라며 “오프라인 게시물의 경우 온라인에 비해 각인되는 정도와 파급효과가 큰 편”이라고 말했다. 광고업체 ‘캠퍼스라이프’의 유진 대리 역시 “학내 게시판은 비용 대비 효과가 높아 광고주들에게는 매력적인 시장”이라며 “아직도 많은 곳에서 학내 게시판 광고에 대한 문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실효성 있는 규정 마련 위해 구성원 간 논의 필요= 현재 게시물 허가 및 관리를 담당하는 총무팀과 학생지원처, 계열별 행정실은 각자 관리하는 건물의 사정에 따라 다른 규정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허가 주체에 따라 중복 허가가 이뤄지거나 같은 게시물이라도 경우에 따라 허가되지 않기도 해 원활한 게시판 이용에 장애가 되고 있다. 또한 외부 광고 허가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어 게시판의 상당수가 외부 광고로 뒤덮여 있다.
 

  현재 학생지원처는 각 계열 행정실과 협의해 게시판 관리 규정을 마련할 계획을세우고 있다. 서울캠 학생지원처 이지성 주임은 “그동안 마련된 규정을 엄격히 지키려고 했지만 부서별로 상이한 규정 때문에 잘 지켜지지 못했다”며 “올해 안으로 담당자들과의 협의를 거친 후 게시물에 관한 규정을 통합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하지만 새로운 게시물 관리 규정이 마련될 경우 허가기준 및 제한이 까다로워져 동아리나 학생기구의 홍보 활동이 크게 위축될 우려가 있다. 윤인원 전 서울캠 동아리연합회장(민속학과 3)은 “실제 동아리들이 홍보 시 붙이는 게시물의 수가 많게는 100장인 것을 감안해 현실적인 게시물 제한 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캠 지봉민 총학생회장(도시공학과 4)은 “단위 주체별로 개최하는 행사 규모가 다르므로 게시물 개수를 유연하게 조절한  규정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단과대 행사 시 붙여지는 게시물의 개수와 총학생회 주최로 운영되는 행사의 게시물 개수가 상당한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윤인원 전 서울캠 동아리 연합회장은 “새롭게 규정을 마련한다면 단과대 학생대표들까지 포함하는 중앙운영위원회에서 예상되는 문제점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용도별 게시판 구분해야= 명확한 규정만큼이나 게시물의 용도에 따른 게시판 마련도 필요한 상황이다. 지금까진 용도별로 구분된 게시판이 없어 게시판마다 학내 광고와 외부 광고가 치열한 자리싸움을 벌여왔다. 이로 인해 학내외 광고가 제공할 수 있는 정보를 취득하는데 어려운 점이 많았다. 법학관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한 방호원은 “게시물이 워낙 다양하다보니 학생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게시물을 찾기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며 “용도별로 게시판이 구분된다면 관리하는 입장에서 편리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학내 대표 종합게시판 설치= 현재 중앙대엔 학내 곳곳에 게시판이 흩어져 있어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홍보 활동을 진행할 경우 다량의 포스터를 붙여야 한다. 게시물의 양을 줄이기 위해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종합게시판을 설치하는 것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종합 게시판이 신설될 경우 한 곳에서 간편하게 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 남발되는 게시물의 개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서울대와 성균관대 등 몇몇 대학의 경우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대형 게시판을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