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가 계열별 통합 행정실 신설과 책임부총장제 시행을 골자로 하는 행정직제개편을 단행한 지 10개월이 지났다. 현 행정직제가 계열별 특성에 맞는 행정 업무를 위해 새롭게 고안해낸 제도인 만큼 시행착오는 불가피해 보인다. 본부와 계열간의 업무 및 책임분담, 업무량 증가로 인한 서비스 저하가 문제시되는 것 또한 이 때문이다.


  현 행정직제의 가장 큰 난점은 본부와 계열별 행정실의 업무 분담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다. 본부가 대학 행정의 청사진을 그리고, 계열별 행정실이 계열별 특성에 맞게 제도를 수정하여 집행한다는 긍정적인 취지가 불투명한 책임소재로 인해 퇴색된 것이다. 이번 호(1751호) ‘의혈로’에서 ‘계열별 책임부총장제의 비체계성’을 지적한 것도 책임소재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벌어진 사건이다.


  계열별로 행정 업무를 집행한다는 기본 틀은 보다 유연한 행정업무를 가능케 한다. 계열별 특수성을 대학 행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허나 본부와 계열로 이원화된 행정체계가 책임소재를 불투명하게 만드는 빌미가 된다면 시정할 필요가 있다. 대학 구성원들의 의견과 계열별 특수성이 책임 소재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수렴되지 못하고 오히려 대학행정이 경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입 초부터 완벽한 제도는 없다. 특히 그 제도가 새로운 길을 닦아나가는 일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새로운 행적직제가 정착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책임소재의 명확성 등 제도 보완이 시급해 보인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