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건대신문이 호외를 발행해 주간교수가 학생기자의 편집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초부터 끊이지 않던 주간교수와 학생기자간 갈등이 지난 10일 발행예정이었던 신문의 1면 탑기사를 두고 의견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폭발한 것이다. 현재 건대신문 편집장은 해임됐고 주간교수는 최종 편집권이 자신에게 있다고 주장하고 있어 갈등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을 전망이다.


  대학신문의 편집권을 둘러싼 갈등은 비단 건대신문만의 일은 아니다. 교비 책정 예산에 의존하는 한국 대학신문의 구조적 모순에서 촉발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고대신문이 동경대와 게이오대 신문 편집장과 인터뷰한 내용을 보면 놀랍다. 두 대학신문 편집장은 교비를 사용하면서 학교를 비판하긴 어렵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교비 사용을 당연하게 여기는 한국 대학신문 여건이 그들에겐 낯설게 느껴진 것이다.


  그러나 한국의 언론환경을 생각하면 두 대학 모델도 비책이 될 순 없다. 무가지에 익숙한 한국의 신문 독자들이 대학신문을 돈 주고 사길 바라기 어렵고 광고 시장 또한 얼어붙었기 때문이다. 대학본부로부터 자본 독립을 한다고해서 학교와 긴장관계를 갖는 독립언론으로 성장할 것을 기대하기도 어렵다. 비판적인 논조를 이유로 대학본부가 취재 편의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한국 대학언론의 특수성을 인정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답이다. 대학 구성원들이 언론의 자유를 소중한 가치로 여기고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수밖에 없다. 대학신문은 언론 본연의 기능 외에도 대학의 역사를 기록하는 매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조선은 왕도 사관의 기록을 열람할 순 없었다고 한다. 독립성을 인정한 것이다. 어떤 사실도 가감없이 기록할 수 있는 신문을 갖고 있는 대학. 어느 대학이나 도달할 수 있는 길은 아니다. 중앙대는 그 길을 따라가리라 믿는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