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내 흡연자와 비흡연자 간의 갈등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서울캠의 경우 총학생회까지 나서 ‘건물입구에서 담배피우지 않기’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의식개선에만 기댈 뿐 현실적 대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흡연자와 비흡연자 모두가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흡연문화사업을 진행하는 사회단체들은 ‘흡연구역 만들기’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한국담배소비자보호협회 홍성용 사무국장은 “합법적으로 담배를 산 소비자이니 흡연권을 위협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며 “흡연구역 조성을 통해 흡연권이 존중받아야한다”고 말했다. 무조건적으로 금연구역을 확대해나가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금연구역을 확대한다고 흡연자가 사라지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로 일방적인 금연구역 지정은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화여대의 경우 학교전체가 금연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그러나 교내에서 담배연기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이화여대 총무과 직원 A씨는 “학생들이 자체적으로 재떨이를 가져다 두고 교내에서 담배를 피운다”며 “금연구역으로 지정해 두었을 뿐 적발할 권한은 없어 묵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양대도 사정이 비슷하다. 한양대 공대행정실 교직원 B씨는 “지난 2009년 공대건물 앞 벤치를 모두 금연구역으로 지정했지만 지금은 거의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아름다운 세상을 위한 공동체 포럼(이하 아공포)의 최선희 대표도 같은 의견이다. 아공포는 올바른 흡연문화조성을 위한 캠페인 사업을 하고 있다. 최선희 대표는 “제일 좋은 것이 금연이지만 억지로 강요할 수 없는 문제”라며 “대신에 공공장소에서의 흡연구역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전했다. 
 

  시민단체들은 흡연구역을 따로 두면 흡연자와 비흡연자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으니 모두에게 좋은 일이라는 입장이다. 흡연구역 조성이 비흡연자뿐만 아니라 흡연자의 권리도 보장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중앙대 학생 대부분도 흡연구역 조성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비흡연자인 정동윤씨(화학신소재공학부)는 “흡연구역이 따로 정해지면 담배연기를 많이 맡지 않게 되니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흡연자인 김상현씨(전자전기공학부3)도 “담배 피울 때마다 비흡연자가 신경쓰였다”며 찬성의사를 밝혔다. 또 여일구씨(경영학부 4)는 “충분한 수의 흡연구역이 정해진다면 굳이 흡연구역 이외의 장소에서 담배를 피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하는 등 흡연구역 조성만으로 야외흡연으로 인한 갈등이 줄어들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국민건강증진법상 대학건물 내 흡연구역설치는 불법이다. 대신 건물 밖 흡연구역 조성의 경우 충분히 검토해볼 만하다. 
 

  총무팀 송정빈 팀장은 “흡연부스를 설치하는 것은 부서간 협의가 필요한 사안이라 확답을 주기는 어렵다”고 말하면서도 “학생들의 불편이 크다면 흡연자와 비흡연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도록 금연구역과 흡연구역이 구분되도록 구역을 조정할 의사는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