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국신 총장은 중앙대 발전의 터를 닦을 중요한 시점에 총장직을 맡게 됐다. 신임 총장에게 놓인 과제가 한둘이 아니다. 안국신 총장이 해결해야할 사안들을 정리해 봤다.

멀티캠퍼스의 성공, 관건의 협상력= 중앙대 개혁의 최대 핵심은 멀티캠퍼스 건립이다. 학문단위 구조조정 역시도 멀티캠퍼스 설립을 기반에 두고 이뤄졌다. 박범훈 전임 총장은 2011년 신년 인터뷰에서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며 성공적인 추진을 확신했다. 지난 25일 중앙인 커뮤니티에 박상규 기획처장이 ‘신캠퍼스 추진과 관련된 공지사항’을 올려 멀티캠퍼스 건립 추진계획이 밝혔지만 ▲안성시의 반대 ▲재원 확보(지자체의 지원 규모) ▲지자체의 입장변화와 같은 민감한 사안에 대한 내용은 찾아볼 수 없었다.

결국 각 지자체와의 협상테이블에서 중앙대 멀티캠퍼스의 승패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안국신 신임총장의 정치력과 치밀한 판단력이 사업성공을 위한 핵심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행정직제 개편으로 인해 대외업무가 총장에게 집중됨으로써 신임총장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본부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중앙대에 유리한 조건을 조성하고 위해 박용성 이사장까지 직접 나서 지자체를 설득하고 있다”고 “신임 총장님이 일하시는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행정직제 개편, 하루빨리 안정화시켜야= 이번 학기부터 개편된 행정직제에 따라 학사 일정이 시작된다. 국내에서 최초로 시행된다는 점에서 시행착오는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겨울 방학 중에는 장학금 지급과 계열, 본부사이의 업무이관이 늦어져 구성원들의 불만을 사기도 했다.

대학본부는 초기단계라는 점을 감안해달라며 구성원들의 양해를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개강 후에도 이런 일이 반복된다면 개편취지마저 퇴색될 수 있어 시급한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안국신 신임총장의 위기관리 대처 능력이 시험대에 오른 것이다.     

이번 행정직제 개편은 계열별 자율성을 극대화하여 계열 간 경쟁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따라서 일정부분의 계열별 경쟁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과도한 경쟁이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는 점이다. 김누리 교수협의회장 또한 “계열별 총장제는 실질적으로 모든 책임을 부총장이 지니는 것으로 캠퍼스 간 경쟁을 부추길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안국신 총장은 “동일 잣대로 계열을 평가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과도한 경쟁은 크게 우려할 필요가 없다”며 “한정된 자원을 두고 벌이는 경쟁은 지극히 당연하다”고 말했다. 따라서 본부는 계열을 평가하는데 있어 작년대비 지표 개선율, 경쟁대학과의 비교를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결국 계열별 부총장들의 의견을 합리적으로 조율하는 것이 행정직제 개편의 핵심조건으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대학본부 캠퍼스별 학문단위 재조정을 올해 안으로 마무리 짓는다고 발표해 계열별 갈등이 표면화 될 가능성이 크다. 총장의 조율능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안성캠 학생, 더 이상의 피해는 NO!=
최근 1~2년 동안 R&D센터 신축, 기숙사 완공, 도서관 리모델링 등 등 서울캠 중심의 시설개선이 급속도로 진행됐다. 이에 따라 안성캠 학생들은 학교 발전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상대적인 박탈감을 토로했다. 하지만 대학본부는 멀티캠퍼스 정책 때문에 안성캠 시설투자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또한 학문단위 구조조정으로 안성캠 학생들은 신입생을 받지 못해 새터 조차 가지 못하게 됐다. 안성캠 학생들의 권익 보호와 소외 방지를 위한 대책이 절실하다고 안성캠 학생들은 입을 모은다. 안성캠 박승환 비대위원장은 “신임 총장님이 학생들과 눈높이를 맞춰 학생들의 바람을 들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안국신 총장은 “이연화 예술계열부총장이 의견을 수렴해 가지고 오면 총장단에서 논의해 보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학생회와의 관계, 화해모드로 갈수 있을까?= 법인교체 이후 대학본부는 학칙에 의거한 학생회 활동을 강조해 왔다. 구조조정과 노영수씨, 김주식씨 학생징계, 등록금 고지서 교지대금 항목 삭제 등 일련의 과정의 겪으면서 본부와 학생대표사이의 갈등이 매우 깊어졌다. 서울캠 고화문 비상대책위원장은 “최근 불거진 언론탄압 사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대학자치가 위태롭다”며 “신임총장님이 학생 자치권을 좀 더 보장해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학본부는 엄중한 학칙적용을 강조하는 현행 기조를 유지할 걸로 보여 갈등국면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고운호 기자 U_know@cauon.net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