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직제 개편에 대해 일부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멀티캠퍼스 체제를 기반으로 계획돼 계열 소속 학생들이 양캠으로 분리된 현실에선 학생들의 혼란과 피해가 불가피할 것이기 때문이다. 효율성을 위해 권한과 책임을 분산시켰다는 대학본부의 설명도 일부 문제가 지적돼 걱정이 커지고 있다.
  단계 많아진 의사결정 단순화?= 대학본부는 개편안의 주요 골자인 계열별부총장제에 따라 대학전체의 의사결정 구조도 일부 변경했다. 기존 단과대학, 행정협의회, 교무위원회의 단계를 거쳐 결정하던 것을 단과대학, 계열별협의회, 교무/교학위원회로 바꾼 것이다. 이번 직제 개편을 준비한 윤경현 전 기획처장(공대 컴퓨터공학부 교수)은 개편안을 “책임형, 특성화, 효율성”으로 표현했다. 계열별로 정책을 결정해 계열단위에서 집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계열 내부 단계가 기존보다 늘었다. 학과, 단과대학으로 진행하던 의사결정 단계에 계열이 추가된 것이다. 계열 외부에서 교무위원회와 교학위원회로 구분해 업무에 효율성을 꾀하겠다는 것도 사실상 상정되는 안건의 차이가 명확하지 않아 우려되는 상황이다. 더군다나 기존 부총장직보다 개편안의 부총장직이 참석해야하는 회의 수가 늘어나 그 효과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기존 행정협의회, 교무위원회→개편안 계열별협의회, 교무위원회, 교학위원회) 일부에서는 대학본부가 교무위원회의 위원들이 대폭 줄어드는 것처럼 말하지만 구성원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한다. 조성한 교수(공공인재학부)는 “의사결정과정에서 성원이 한두명 줄어드는 것은 의미가 없는데 개편안의 의사결정구조는 기존의 것과 크게 다른 점을 찾을 수 없다”며 “세부적인 사항을 정할 때 효율성 제고 고려치 않는다면 개편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 우려했다.
  계열별로 나누고 본부가 짱먹어?= 어차피 총괄을 본부에서 맡기 때문에 계열별 자율성이 극히 제한적이란 의견도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교수는 “이번 보직인사 및 학(과)장 선임시 계열별 부총장에겐 권한이 적고, 본부의 입김이 셌다는 풍문이 있다”며 “각 계열에 직원, 교수 인원 및 예산 배정을 본부에서 하는 시스템에서 계열별 부총장은 본부 눈치를 볼 수 밖에 없지 않나”라며 계열별부총장제의 권한 분산 효과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실제로 앞으로 결정될 계열별 부총장의 정책적 운신의 폭은 좁을 가능성이 크다. 윤경현 기획처장은 “계열별부총장은 본부의 가이드라인에 계열별 특성과 정책을 더해 세부사항을 정하는데 본부안은 각 계열안의 하한선이 되야할 것”이라 말했다. 이는 만약 논문 2개당 연구비를 지원하는 인센티브 정책을 본부에서 추진한다면, 각 계열에선 이 기준을 3개나 4개로 높일 순 있지만 1개로 낮출 순 없다는 의미다.
  안성캠 신경써줄 사람 없어= 안성캠 부총장이 없어지면서 안성캠의 전반적인 운영이 어렵다는 점도 도마위에 올랐다. 예체능계열 부총장이 안성캠 업무를 총괄하긴 하지만 직접적인 권한이 없는 점이 큰 문제다. 또한 각 계열별 부총장 및 학장들이 서울캠 소속이 절대 다수기 때문에 의사결정 과정에서 안성캠이 배제될 가능성도 크다. 관련해 박범훈 총장은 중대신문과의 특집인터뷰에서 “안성캠 학생들이 느낄 소외감을 잘 알고 있다며 자주 안성에 내려가 학생들과 접촉하면서 해소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계열별 체제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대학본부는 계열별 특성을 살리고 계열 간 경쟁체제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내겠다고 하지만 ‘특성화’와 ‘경쟁’이라는 두 말은 일반적으로 곤존하기 어렵다. 더불어 행정전문가가 아닌 부총장들이 과다경쟁 체제에 내몰릴 경우 계열 이기주의가 팽배해질 가능성이 높아 대학의 전체이익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도 크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