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기획    
53대 총학생회 선거를 끝으로 52대 총학생회는 임기를 마친다. 2010년은 구조조정, 학생징계 등으로 유난히 다사다난했다. 현재 중앙선관위장을 맡고 있는 양캠 총학생회장을 만났다. 그리고 52대 총학생회의 1년을 되짚어봤다.

 

강경수 중앙학생회장, 김은지 중앙학생부회장

 

  안성캠 중앙학생회(이하 중앙회)의 임기가 저물어간다. 중앙회는 51%라는 아슬아슬한 지지를 받으며 V총학으로 출범했다. 중앙회는 선거파행 논란과 재선거와 사퇴, 중앙회로의 탈바꿈 등 다사다난한 1년을 보냈다. 여러 사건들로 학생회 활동에 제약이 있을 수 밖에 없었던 중앙회의 활동을 되짚어본다.


  선거 시비로 우여곡절 겪은 중앙회= 중앙회는 지난 3월 재선거에서 V총학으로 출범하였으나 시작부터 예술대와 동아리연합회(이하 동연)의 정당성 시비로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여러 차례 거친 선거지도위원회에서도 결론이 나지 않자 결국 지난 여름방학 강경수 전 총학생회장은 사퇴를 결정하고 다시 중앙운영위원들의 추대로 중앙회를 출범했다.


  선거당시 V총학은 ▲구조조정 피해 최소화 ▲안성캠 중심 고유의 장학제도 운영 ▲학생 여론조사부서 설치 ▲CAU 건강지킴이 ▲내리·교내생활정보 ▲CAU콜센터 배치 ▲V-몰, V-매거진, V-데이 등의 공약을 내세웠다. 이처럼 중앙회는 학생복지와 관련하여 다양한 공약을 내걸었지만 결과적으로 실현된 건 몇 개 없다. 대신 공약 외에 안성캠 TFT에 따른 복지개선과 최초로 안성캠 단대 축제를 통합해 진행하는 등 성과를 보임으로써 학생들로부터 호응을 얻었다.


  저조한 공약이행= 중앙회는 선거 당시 제시했던 31여개의 공약 중 13%에 해당하는 9개를 확실하게 이행했다. 방학 전부터 재선거를 준비하느라 총학생회를 꾸릴 시간이 적었고 예대와 동연과의 마찰로 일을 추진하는데 제약이 있었지만 공약자체가 비현실적이라 실현되기 힘들었다.


  중앙회는 안성캠 학생들의 등록금이 서울캠에 집중되는 것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등록금 사용내역 공개를 요구했으나 문제제기에 그쳤을 뿐 안성캠 학생을 위한 장학금 신설은 성사시키지 못했다. 학생 여론 조사부와 학생들 취업관련프로그램 확대의 경우 대학본부로부터 여건상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듣고 마무리 짓는다. 선거 당시 학생들에게 어필했던 V매거진과 V몰, V데이 공약 중 V데이만 성사시켰다. 


  대형사업에서는 존재감 한껏 드러내=  중앙회는 기존 공약에 대해서는 저조한 실적을 보였지만 구조조정과 안성캠 TFT, 축제 등은 굵직굵직한 사업에는 큰 성과를 남겼다. 중앙회는 당선 즉시 지난 3월 22일 구조조정 대책위원회를 구성하여 대학본부와 대화를 시도했다. 중대신문과의 논의를 거쳐 학생과 교수, 교직원을 상대로 대대적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총학생회에 주최로 대학본부의 설명회를 성사시키기도 했다. 이를 통해 외대와 산업대의 구조조정 문제에 개입하여 학생 수업권 보장을 대학본부로부터 약속받았다. 3차에 거친 안성캠 TFT에서도 총무처와 학생지원처와의 논의를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거뒀다. ▲도서관 화장실 ▲외대 버스정류장 리모델링 ▲도서관과 외대 휴게공간 조성사업 ▲출입통제 시스템 추진 등 학생들이 변화를 느낄 법한 사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통합 축제, 성공리에 막내려= 매년 단대별로 진행해왔던 축제를 통합하여 학생들의 폭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중앙회는 축제 기간이 장기화 되어 나타났던 예산의 비효율적인 사용, 학생참여 저조 문제를 단박에 해결했다. 200~300명이 참여하는데 그친 작년에 비해 올해 축제엔 1500여명이 함께 했다. 

  힉생들과의 소통은 원활하지 않았다. 학생회 활동에 대하여 학생들에게 제대로 홍보하지 못한 것이다. 중대신문의 제안으로 대자보를 붙이고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나 플랜카드나 선전물을 이용한 활동보고에는 소극적이었다.


  중앙회는 임기 내에 결국 예술대와 동연과의 불화를 씻어내지 못했다. 선거파행과 재선거로 시작된 중앙회와 예대, 동연의 관계는 1년 내내 평행선을 달렸다. 함께 추진한 사업은 하나도 없었으며 축제 또한 각자 진행했다. 하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중선관위에 양측 모두 참석하여 신학문단위에 따른 선거방식과 세칙과 관련하여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고운호기자 U_know@cauon.net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