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캠 총학생회가 53대 총학생회장 선거에 시동을 건다. 2011년을 책임질 새로운 학생대표 결정의 서막이 오른 것이다. 구조조정 이후 신·구 학문단위의 학생회 조직 문제, 학생활동을 보장하는 학칙개정 등 학생사회의 현안이 산재한 만큼 선거방식도 중요하다.

  중앙대는 지난 52대 안성캠 총학생회장 선거에서 쓴맛을 봤다. 과도한 선거공방으로 후보가 자격을 잃어 논란이 됐고, 일부 단대에는 투표소가 설치되지 못했다. 선거인 명부를 탈취하는 일도 벌어졌다. 이후 대학본부의 중재로 재선거에 나섰지만 똑같은 문제가 반복됐다. 결국 지난 6월 안성캠 총학생회장까지 사퇴했다.

  같은 문제로 고민하던 다른 대학들은 일찌감치 대안을 찾아 적용했다. 바로 전자투표제다. 전자투표제는 종이가 필요없고, 선거인 명부도 전자시스템으로 처리한다. 접근성도 높다. 매번 총학생회 선거에서 불거지는 투표율 부족과 부정선거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선 최고의 비책인 것이다. 그래도 학생대표들과 대학본부는 복지부동이다. 나서서 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없다. 지난해 양캠 선거관리 위원장들은 종이투표를 결정하며 민주주의 선거원칙을 확립하기 위함이라 밝혔다. 2번이나 선거지도위원회를 열게 한 선거가 과연 민주적이었던가.

  이제는 도입 시 보완책과 방법을 고민할 때다. 전자투표를 하느냐 마느냐로 왈가왈부하다간 이번에도 종이투표를 벗어날 수 없다. 투표율이 떨어지고, 부정선거 의혹이 늘수록 학생자치에 대한 지지는 감소할 수 밖에 없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