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대학에 내일이 없다
행정체계나 학과 조직을 봐도 대학의 미래는 불투명하다. 장단기발전계획은
있으되, 이를 밀어주는 추진력이 모잘르다. 지금 중앙대는 방만한 대학경영
으로 업무가 효율성을 잃고 있다.
이제라도 본부는 종전에 폭주하던 업무를 각 단과대에 위임하고 자신은 단과
대의 행정을 후방지원하는 것으로 역할을 다이어트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다.
또한 단과대별 발전정도를 수치화해 이를 채첨, 성과에 차등적으로 보상함으
로써 경쟁을 부추겨 대학발전을 모색할 것으로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기획특집 '대학의 미래를 진단한다' (1)행정체계에서는 대학경영의 내
일을 그려본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세계 최고의 중앙인이 세계 최고의 중앙대학을 만듭니다.'1캠퍼스 의혈로를
걷다보면 철학과 어느 소모임에서 걸어놓은 플래카드를 볼 수 있다. 그런 플
래카드가 걸린 것을 보면 굳이 세계 최고라 하지 않더라도 선진적인 대학을
건설하는 것은 많은 중앙인의 염원이다.

이런 이유로 몇 년전부터 학교운영에도 경영마인드가 구축되어야 한다는 목
소리가 높았다. 기업의 경영기법을 도입해 각 대학간의 경쟁체제에서 생존해
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그에 따라 여러 자구책들이 쏟아져 나왔다. 부서운영
을 팀운영제로 전환해 효율성을 꾀하기도 하고 전산화에 총력을 다해 업무에
편의를 도모하기도 했다.그러나 `교육개혁 우수대학 선정', `대학정보화 랭킹
4위' 등으로 치켜든 축배가 아직 식지 않은 시간, 학교의 다른 곳에선 그래도
중앙대는 멀었다는 생각이 남아있는 듯하다. 기업경영의 시스템이 원활히 적
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그것이다.중앙대는 종합대학이라는 성격상 기업
에 비교하자면 재벌 축에 속한다. 양캠퍼스를 합쳐 16개의 단과대학과 80개가
넘는 학과를 갖고 있다. 재벌에 비교했지만 이런 재벌도 드물 정도다.

그런데 한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몇 년전 각 대학들이 기업경영기법을 도입해
야 한다고 했을 때, 재벌들은 이미 대학들이 좇으려는 경영마인드에 한계를
느끼고 서서히 탈출구를 찾고 있었다는 점이다. 리엔지니어링(re-engineeri
ng)이니 다운사이징(down-sizing)이니 하는 용어들도 그때 나돌았던 것들이
다.중앙대의 맹점이 여기에 있는것으로 보인다. 경영마인드를 논할 때 규모의
경제라는 측면에서 비판점이 남는 것이다.

기업들이 `군살빼기'에 혈안이 될 정도로 경도됐던 것에 비해 중앙대는 이러
한 점에는 눈을 돌리지 못했던 것이다.물론 그런 시도가 없던것은 아니다. 지
난 1학기에 발표된 `행정조직개편안'은 `날씬한' 대학으로 다시 태어나기 위한
시도의 하나였다. 이 안에 따르면 교무처와 학생처는 통합을 거쳐 교학처로 개
편되고 축소통합으로 인해 남는 인력은 각 단과대학 교학과로 전진배치된다는
것. 현재 50명인 교학과의 교직원이 교학처 통합에따라 30명이 늘어나 80여명
으로 증원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본부축소와 학과 중심 행정이 이뤄지는 듯 했다. 축소된 대학본부
는 학과별, 단과대학별 행정업무에 대해 후방에서 지원사격만 해주면 되고, 단
과대학과 학과의 행정은 본부로부터 독립해 다원화된 학교운영이 기대됐다.
그러나 이 희망은 `부도수표'로 마감됐다. MC문제 등에 의한 행정마비라는 이
유였지만, 결국 본부의 추진력 문제라는 것이 중론이다.

지난 개편안에서도 지적한 것처럼 단과대학별 독립운영체제는 대학발전과 직
결되어 있다. 단과대학들은 독립적인 운영으로 본부의 간섭 없이 다원적으로
활동하고, 단대별로는 자연스럽게 독자적인 발전모색을 통해 특성화까지 노
릴 수 있는 기대도 가능하다. 모처럼의 역동적인 활력소가 될 뻔한 기회가 근
본적인 추진 단계에서 무산되고 만 것이다. 이런 무산 위기에도 학과, 단과대
학 중심 행정은 계속적으로 추진되어야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기획실의
박윤갑 계장은 "10년안에는 이러한 작은 규모의 다원화된 행정이 이루어지리
라 본다"고 예상하며 하루빨리 행정조직개편에 발빠르게 움직여야 한다고 주
장한다.

행정조직개편이 이뤄질 경우 단과대학별 경쟁을 부추기는 것도 대학발전에 한
몫을 하리란 전망도 있다. 특히 예산의 차등지원과 같이 단과대학의 발전실적
에 따라 인센티브(incentive)를 부여하는 것이 좋은 보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단과대학별 저발전과발전의 우열을 가림으로써 특성화 단과대학을 추슬러 종
합대학으로서의 방만함을 억제할 수 있는 호재(好材)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다. 중앙대는 그동안경영마인드 도입이라는 측면에서 부서의 담당역제, 전산
화, 팀운영 등을 도입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으로는 종합대학이라는 방만한 규모를 감당하지 못할 것
이 라는 지적이다. 대학행정조직을 근본적으로 접근했을 때 학과, 단과대학으
로의 관심이 쏠린 것은 어찌 보면 대학행정의 패러다임 전환이라 할 정도로
대대적인 수술이 아닐 수 없다.그런데도 단과대학 중심의 행정체계가 운영되
지 않는 가장 커다란 요인은 본부 핵심들의 추진력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개
편안까지 완비하고서는 다른 사안에 밀려 실현하지 못해 행정개혁이 답보상
태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학과별, 단과대학별 행정을 통한 대학발전은 요원
하기만 한 것인지 학교의 추진력을 의심하는 목소리만 높다.

<김성윤 기자>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