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학들이 우수교원 유치를 위해 발벗고 나서고 있다. 총장 수준의 연봉을 제시하거나 전담 연구소를 제공하는 등 파격적 혜택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우수교원 유치 경쟁은 국내를 넘어 해외 대학에서도 치열하다.


  서울대에 10년간 몸담고 있던 C교수(생물학)는 몇해 전 이화여대로 이직했다. 이유는 간단했다. 이화여대 측이 C교수가 영장류 연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파격적 지원을 약속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대학 간 우수교원 유치 경쟁에 불이 붙으면서 각종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2007년 숭실대는 교수 이직 문제로 떠들썩했다. 로스쿨 유치 경쟁으로 인해 심화된 대학간 교수 영입 경쟁으로 교수 이직 사태가 무더기로 발생한 것이다. 로스쿨 유치 인가를 받기 위해서는 법조실무경력교원을 전체 법정교원 정원의 20% 이상 유치해야 한다. 따라서 각 학교들이 실무경력 교원을 유치하기 위해 마구잡이로 영입 경쟁을 벌였다.


  당시 상당수의 숭실대 교수들이 좋은 조건의 다른 학교로 이직했고, 피해를 입은 학생들의 불만이 터져나왔다. 법대 학생들은 개강과 동시에 담당교수가 바뀌고 강의가 폐강되는 등 큰 혼란을 겪었다. 때문에 숭실대 법대 학생회는 학교 홈페이지에 교수 이직 문제 피해를 최소화 해 달라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당시 법대 학생회장이었던 김장훈씨(26)는 “교수들에게 느낀 배신감이 컸다”며 “개강한 지 1~2주 만에 교수들이 떠나 2주 동안 휴강되는 등 매우 혼란스러웠다”고 말했다. 또한 “임시로 임용된 강사의 경우 자질 면에서도 문제가 있었다”며 “학교 본부 측의 지인을 통해 검증 안된 강사가 임용되기도 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서울 소재 주요 대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쟁력에서 뒤쳐진다고 평가받는 지방대의 경우 그 문제가 더 심각하다. 지방대는 특정 분야를 특성화하여 주력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 분야의 교수가 다른 학교로 이직하면 학과 수업이 휴강되거나 학과의 존속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


  지방대 교수 유출이 계속되면서 이들이 진행하던 연구·프로젝트가 중단되거나 학생들이 휴학·자퇴를 하는 경우도 생긴다. 충남지역 C대의 한 교수는 한국일보와 인터뷰에서 “연구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하던 동료 교수가 다른 대학으로 옮겼다”며 “거액을 들인 프로젝트마저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했다”고 하소연했다. 


  타대로 교수 유출을 당한 학교들은 교수 이직으로 인해 강의가 휴·폐강되어 학생들은 수업권을 침해당하고 있었다. 또한 당황한 학교 측에서는 자질 검증이 되지 않은 강사를 영입하는 등 임시 대처만 내세울 뿐이었다.


  최근 학교들은 신진 학자보다는 연구 성과가 있는 경력 교원을 더 선호하고 있다. 이는 각 대학들이 연구 중심으로의 체제 개편을 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처럼 각 대학들이 우수교원 유치를 위해 치열한 경쟁체제를 벌이는 것이 결코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피해 학과와 학생들이 겪어야 할 부담과 믿음에 대한 실망은 누구도 보상해줄 이가 없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