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엊그제가 만나지 330일 되는 날입니다. 1년 기념일을 어떻게 보낼지 여자친구는 준비된 계획을 세우길 원하는데 사실 저는 신이 나지 않고 덤덤합니다. 헤어지고 싶은건 아니구요. 싫지는 않은데 좋은 것도 아니고…. 제 마음을 저도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하죠?

  A. 사랑이란 애인에게 모든 에너지가 집중되며 타인과는 다른 의미를 부여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됩니다. 특히 열정적인 사랑(passionnate love)은 강렬한 정서인데, 따스함, 성적 욕망, 흥분, 고통, 근심과 안도 등의 격렬한 감정들이 공존합니다. 대개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이런 감정이 영원히 지속될 것이라고 장담하지만 얼마 가지 않아 이런 감정은 결국 시들게 마련입니다. 예일대의 신시아 교수는 열정의 유효기간을 “폭풍 같은 900일”이라고 밝혀냈습니다. 이시기 동안은 뇌의 본능을 좌우하는 미상핵이 반응하여 두 사람의 감정에만 충실하게 되며, 남의 시선을 아랑곳하지 않고 애정행각이 과감해 지고 키스할 때에도 심장 박동수가 빨라지는 등 세상이 아름답게 느껴지는 시기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1년 정도가 되면 흥분도가 절반으로 떨어지며 사랑하는 연인의 뇌스캔 사진은 본능을 좌우하는 미상핵의 불이 더 이상 반응하지 않습니다. 대신 이성을 좌우하는 대뇌피질의 불이 켜지기 시작하며 파트너의 단점이 보이는 등 많은 연인들은 이 시기에 헤어짐을 경험하게 되는 갈림길에서 고민하게 됩니다. 이것은 사랑을 열정이라고 착각하기 때문이며, 열정이  사랑의 전부라고 오해하기 때문입니다.
사회심리학자인 에릭 프롬은 그의 명저 「사랑의 기술」(1976)에서 사랑은 돌봄, 책임, 존중, 지식이라고 하였으며, Sternberg는 친밀감, 열정, 책임감이 사랑의 요소라고 하였습니다. 조물주가 열정을 주신 이유는 이 시기에 종족번식을 하고 파트너의 모든 점이 아름답게 보여 충분한 긍정적인 감정과 친밀감을 쌓기 위해서입니다.
 행복한 파트너의 비율은 5:1이라고 합니다. 긍정적이고 따뜻한 감정이 5개일 때 비로소 부정적인 감정 하나를 상쇄해 버린다는 것인데, 파트너에게 속상하고 힘든 마음이 들어도 긍정적인 감정 5개를 적금통장에서 꺼내어 사용하면 부정적인 감정이 희석된다는 것이지요. 반대로 불행한 파트너의 비율은 1:1.25로 부정적인 감정이 긍정적인 감정보다 조금만 많아도 난 불행하다고 느낀다고 합니다. 곰보도 보조개로 보일 때 긍정적인 감정을 많이 쌓는 사랑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지금부터 “당신이 있어 너무 행복해”, “사랑해”, “고마워”, “당신은 정말 소중한 사람이야”, “난 언제나 당신편이야”, “당신과의 관계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 세상에 없어”라고 긍정적인 친밀감을 쌓는 노력이 우선 필요할 것 같습니다. 파이팅!!

 

 

  Q. 만나지 70일째입니다. 몰랐었는데 여자친구가 술을 너무 좋아하고 아르바이트가 끝나면 새벽 5시까지도 술을 먹곤 합니다. 다음날 속이 쓰리고 아파하면서도 반복되고 있습니다. 큰소리로 화를 냈더니 조심하겠다고 노력하고 있지만, 제 마음은 정리 쪽으로 굳혀지네요. 이별 통보를 해 보지 않아 걱정이 됩니다. 도와주세요.

  A. 사랑에 법칙이 있다면 이별엔 에티켓이 있습니다. 헤어져야 될 것이 확실하다면 남는 자에게 분명하게 만남의 끝을 정하는 것이 떠나는 자의 도리입니다. 나쁜 사람이 되고 싶지 않아 이별을 포장하고 그럴싸한 변명을 하지만, 그 어떤 아름다운 변명이 남은 자의 아픔을 위로 할 수 있으며 떠나는 자의 뒷모습을 근사하게 할 수 있겠습니까? 그리고 언제 이별을 하든 이별을 해야 한다고 결정했다면 신속하고 정학하게 해야 합니다. 그래야 덜 아픕니다. 그리고 만남의 끝을 완전하게 하십시오. 술을 적당히 마시고 습관처럼 단축키 1번을 눌러 혀 꼬인 소리로 “뭐해? 나 안보고 싶어?” 이런 미련한 행동은 금물입니다. 이별에도 유예기간이 있어요. 과거에 사랑했던 사람인데 이별하자마자 냉큼 다른 사람을 사귄다면 ‘매너 없는 행동’입니다. 그리고 십 리를 못가서 발병나길 바라는 마음이 있을지라도 떠나는 사람에게 나쁜 말은 금물입니다. 이별 후 두 사람 사이에 있었던 모든 일에 대해서는 입을 다물길 바랍니다. 떠나 보내도 추억은 남기 때문에 서로에게 해를 입히는 건 남는자의 예의가 아닙니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