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를 뜨겁게 달궜던 이슈 중 하나는 소위 ‘기자실 못박기’라고 불렸던 ‘기자실 통폐합’ 이었다. ‘취재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이라는 명목아래 행해진 참여정부의 중요부처 기자실 통폐합은 기자들의 강력한 불만을 야기했다.


새 정부가 출범한 지 한 달이 넘는 시간이 흘렀다. 그러나 대선이후 3개월간 새 정부가 보여준 모습은 ‘비즈니스 프렌들리’와에 가까울지 몰라도 ‘프레스 프렌들리’라고 보기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인수위원회가 문화부에 언론사 주요 간부들의 성향을 파악하도록 지시한 ‘언론인 성향 분석’사건은 시작에 불과했다.


김용철 변호사와 천주교 사제단의 삼성 뇌물의혹 명단 발표에 대한 청와대 대변인의 ‘사전해명 브리핑’사건, 게다가 이를 풍자한 YTN 돌발영상이 삭제되면서 되려 모든 블로그와 UCC 홈페이지에 게재되는 이변을 낳기도했다.


뿐만 아니라 여당 원내 대표와 수석 부대표의 ‘참여정부 인사 청산론’, ‘KBS 정연주 사장 사퇴 압박’ 등 언론과의 마찰이 끊이지 않고 있다.


급기야 방송통신정책의 모든 권한을 책임지는 방통위원장에 ‘MB의 측근’이 임명된 지난 26일 오후 1시 서울프레스센터에서는 민주언론시민연합(이하 민언련)주최로 ‘이명박 정부 출범 한 달, 권언관계 진단’에 대한 토론회가 열렸다.


발제를 맡은 민언련 김유진 사무처장은 이명박 시대 권언관계의 징후들과 영향을 미칠 요인에 대해 언급하며 “‘참여정부=언론통제’, ‘이명박 정부=언론자유’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기자와 언론은 진정으로 프렌들리(friendly)해서는 안되는 존재이며 권언관계 전망에 대해 냉정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민언련 박진영 간사는 “오늘 이야기가 ‘기자들이 잘 해야한다’고 당위론적으로 나오는 것 같아 아쉽다. 손석춘씨가 ‘내부적으로 저널리스트의 본분을 살리는 운동을 하자’고 말씀하셨는데 이를 구체화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번 토론회에 관심이 있어 참석한 이국희씨는 “인수위 문화부 사건만 보아도 언론 스스로 이런 일들을 확대·재생산하고 있지 않나 싶다”며 “신문사설 실명제를 건의한다. 사설 속에 숨지 말라고 경고하고 싶다”고 제안했다. 이에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손석춘 원장은 “기명칼럼에서 볼 수 있듯이 이름을 걸고 쓰는 것도 비슷하지 않을까 싶다”며 “실명제가 사설 문제를 해결할 것 같지 않다”고 답변했다.


토론이 끝나고 사회자는 권언관계에 대해 ‘어렵다’는 최종진단을 내렸다. 이명박 정부 출범 1개월. 정부차원에서의 미디어정책과 철학에 대해 진단하고 정치·언론·국민간의 관계가 프렌들리해지는 구체적 해결방법을 고려되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