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자리로 하늘에 올라간 오르페우스가 돌아왔다. 뱀에 물려 죽었던 에우리디케는 추위와 배고픔에 강인하게 맞선다. 망령으로 뒤덮였던 하데스의 어두운 지하세계는 대낮보다 밝은 네온불빛과 휘황찬란한 조명으로 가득했고, 하데스에게 끌려갔던 연약한 페르세포네는 사랑을 잃은 남편에게 불만을 품은 채 와인에 깊이 취해있었다. 신화와 닮은 듯 다른 이 이야기는 오르페우스 신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뮤지컬 <하데스타운>속 세계다. 

  지옥 가는 길 철길 위에서  
  뮤지컬 <하데스타운>에서는 그리스·로마 신화 속 신들을 심심찮게 엿볼 수 있다. 신들의 사자(使者)이자 죽은 자들을 지하 세계로 인도하는 헤르메스. 그는 발에 날개를 달고 인간계와 지하 세계 그리고 하데스타운으로 가는 기찻길을 넘나들며 신과 인간의 이야기를 전한다. 페르세포네가 지상으로 올라오면 봄이, 하데스에게로 가면 겨울이 오는 신화 속 세상의 질서 또한 <하데스타운> 전반을 아우르는 중요한 장치다.  

  페르세포네가 하데스에게로 가버린 추운 겨울 하데스타운으로 가는 철길 위. 자신의 노래로 봄을 다시 불러올 수 있다고 굳게 믿는 오르페우스와 현실적인 에우리디케가 만난다. 그녀는 오르페우스의 이야기를 믿지 않는다. 하지만 오르페우스가 짧은 흥얼거림만으로도 한 송이의 꽃을 피워내자, 놀란 에우리디케는 그의 노래가 정말로 봄을 불러올 수도 있겠다고 생각한다.  

  둘은 사랑을 약속하지만 노래만 만드는 가난한 오르페우스 때문에 에우리디케는 계속되는 추위와 굶주림에 시달린다. 결국 그녀는 배고픔을 이기지 못해 하데스타운으로 향하고, 노래를 만드는 데 정신이 팔린 오르페우스는 에우리디케가 하데스타운으로 떠난 사실조차 알아차리지 못한다. 

오르페우스는 노래 <Epic>을 완성해 하데스 앞에서 부른다. 하데스는 오르페우스의 노래로 세상을 바꿀 수 없다고 확신하지만, 결국 이 노래는 하데스의 마음을 움직인다.
사진출처 클립서비스

  리라 대신 기타를  
  오르페우스 신화가 주는 두 가지 중요한 메시지가 있다. ‘죽음을 넘나든 사랑’과 ‘음악과 서사시의 힘’이다. 오르페우스는 에우리디케가 하데스타운으로 가버린 사실을 깨닫고 그녀를 찾아 떠난다. 순수한 오르페우스에게 하데스타운으로 가는 길은 멀고도 험하다. 그럼에도 갈 수 있겠냐는 헤르메스의 물음에 오르페우스는 대답한다. 이 세상 끝까지, 온 마음을 다해 에우리디케에게 가겠다고. 

  극 중 오르페우스는 리라 대신 기타를 연주한다. 그는 시간을 거듭하며 노래를 완성하는데, 이 노래는 지하 세계를 지키는 사냥개와 하데스타운을 둘러싼 굳건한 벽, 그리고 돌과 나무마저 감동시키며 오르페우스를 하데스타운으로 인도한다. 또한 하데스가 페르세포네와의 사랑을 떠올리게 만든다.  

  결국 오르페우스는 에우리디케와 함께 지상으로 올라가는 것을 허락받는다. 음악과 서사시의 신 오르페우스인 만큼 극 중에서 그가 완성하는 노래 <Epic>의 뜻 또한 ‘서사시’다. 이 노래는 오르페우스 신화가 주는 메시지를 관통한다.  

  다시 밝아질 세상을 위해 
  우리는 이미 결말을 안다. 오르페우스는 의심을 이기지 못해 뒤를 돌아보고, 에우리디케는 지하 세계로 떨어진다. 하지만 <하데스타운>의 결말은 첫 넘버 <Road to Hell>과 함께 다시 시작된다.<하데스타운>이 주는 메시지는  여기 있다. 헤르메스가 말한다. “중요한 것은 결말을 알면서도 다시 노래를 시작하는 것. 이번엔 다를지도 모른다고 믿으면서.”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는 서로를 알아봤을까. 글쎄다. 에우리디케의 손에는 처음엔 보지 못한 꽃 한 송이가 들려 있었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