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팡질팡. CAU2018+ 일환으로 진행한 신캠퍼스 추진 사업은 네 글자로 축약할 수 있을 듯하다. 대학본부와 신캠퍼스가 속할 지방자치단체(지자체) 간 협의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으며 법적 한계도 뒤늦게 발견되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한 끝에 사업은 백지화됐다. 안성캠 활성화를 위해 안성캠 발전기획안을 비롯한 여러 계획이 발표되는 현시점에서 신캠퍼스 추진 과정을 돌아봤다.

  대학본부는 신캠퍼스 추진단을 발족해 하남캠과 검단캠 신설로 멀티캠퍼스를 구축할 계획이었다. 계획 추진은 하남캠 건립부터 시작한다. 대학본부는 개발제한구역인 미군 공여지 약 30만6731㎡와 법인 소유의 약 90만㎡ 부지를 연결해 하남캠을 건립하고 안성캠을 이전하려 했다. 이에 지난 2007년 11월 중앙대는 하남시와 하남캠 설립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그러나 당초 계획만큼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대학본부가 매입할 예정인 미군 공여지의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불허됐기 때문이다. 더욱이 안성시 주민들도 안성캠 이전을 격렬히 반대했다. 안성시는 지역 간 갈등이 심각한 경우 개발제한구역 해제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국토해양부 규정을 근거로 하남캠 건립이 지자체 간 마찰을 불러일으킨다며 미군 공여지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일축했다.

  뿐만 아니라 「수도권정비계획법」의 저촉을 받는 안성과 하남은 각각 성장관리권역과 과밀억제권역에 속한다. 해당 법령에 따라 대학은 인구집중유발시설로서 성장관리권역에서 과밀억제권역으로 이전이 불가능하다. 안성캠을 이전하겠다는 당초 계획의 법적 한계마저도 뒤늦게 발견하면서 하남캠 설립 추진에는 급제동이 걸렸다.

  결국 대학본부는 검단캠을 먼저 설립하고 인원 재배치를 통해 안성캠 해체 후 하남캠 설립을 추진하는 ‘선(先) 검단 후(後) 하남’ 전략으로 선회했다. 검단캠에는 약 66만㎡ 규모의 캠퍼스와 1000개 병상 규모의 대학병원을 신축할 예정이었다. 이는 안성캠 해체로 안성시의 반대 근거를 없애고 성장관리권역에 속한 검단에 캠퍼스를 설립해 법적 제재도 피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전략도 신통치 않았다. 지난 2011년 인천시가 재정 악화를 이유로 2010년 2월에 맺은 MOU 내용을 뒤집었기 때문이다. 기존 협약의 주요 골자는 ▲2000억원 지원 ▲원형지 보상가로 토지 약 66만㎡ 제공 ▲안성캠 매각대금으로 토지비용 지불이었다. 인천시는 재정악화로 약속한 2000억원을 지원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또한 캠퍼스 부지 제공과 관련해 시행사가 재정이 열악하므로 원형지 보상가로 토지를 제공할 수 없다고 통보했다. 원형지는 상·하수도 등 기초적인 기반시설만 갖추고 부지 조성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토지로 그만큼 지대가 저렴하다. 시행사가 원형지 보상가로 토지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대학본부는 2배 이상 높은 토지 가격을 부담해야 했다.

  하남캠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하남시는 하남캠에 1만명의 학생을 수용하지 않는다면 캠퍼스 건설이 불가능하다고 못 박았다. 뿐만 아니라 대학본부는 캠퍼스 부지의 30%를 캠퍼스 타운으로 건립하겠다는 계획이었으나 하남시는 캠퍼스 부지 100%를 교지로만 활용해야 한다며 대학본부의 계획안을 수용하지 않았다.

  이렇듯 대학본부와 지자체 간 팽팽한 줄다리기 속에 중앙대와 하남시가 맺은 협약은 지난 2013년에 파기됐다. 검단캠 건립은 사업성 부족 문제 등을 이유로 인천시와 지지부진한 논의를 이어가다 지난 2015년 기본협약 연장시한이 만료돼 무산됐다.

  첫 삽을 뜨기도 전에 신캠퍼스 추진 사업은 백지화됐고 부랴부랴 안성캠퍼스발전기획단이 발족됐다. 그러나 신캠퍼스를 추진하는 사이 안성캠은 공동화가 진행돼 한산해졌다. 이로 인한 학내 구성원의 불만도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안성캠 발전기획안이 발표됐다. 늦은 감이 있으나 활기찼던 안성캠 본 모습을 되찾기 위해 대학본부와 법인이 앞으로 어떠한 노력을 펼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