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를 만드는 사람에서
문화를 만드는 사람으로

김다은 동문 사진
사진 정준희 기자


뷰티, 일상 그리고 그 이상. ‘킴닥스’로 활동 중인 김다은 동문(신문방송학부 13학번)의 유튜브 채널에서 가장 먼저 보이는 슬로건이다. 그는 영상으로 많은 이들의 변화를 꿈꾸는 ‘이상’을 위해 매일 고민하고 발전한다. 그러기에 유튜버 그리고 대학생 그 ‘이상’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더 큰 세상으로 나아갈 준비를 마친 김다은 동문. 한 장면을 길게 촬영하는 기법인 롱 테이크(long take)처럼 꿈을 향한 그의 시나리오도 계속된다.
 

  -가장 기억에 남는 건?
“수업을 듣고 학교 행사에 참여하던 일상이 기억에 남아요. 전공 수업 시간에 연사로 강연을 하고 학우들과 1인 미디어 산업에 대해 의견을 나눌 기회도 있었죠. 캠퍼스에서 광고를 촬영한 경험도 인상적이었어요. 중앙대에서의 평범한 일상부터 특별한 경험까지 모두 기억하고 싶어요.”
 

  -학교에 대한 애정이 느껴진다.
“중앙대 덕분에 4년의 시간 동안 꿈을 구체화할 수 있었어요. 과거의 저와 현재의 저를 연결해주고 인생의 옷매무새를 잘 다듬어 줬죠. 사회에 나갈 준비를 하는 일련의 시간을 지나 이제는 재킷을 잘 갖춰 입고 사회로 나가는 느낌이에요.”
 

  -학교에서 어떤 준비과정을 거쳤나.
“원래 영상 제작 실무에만 관심이 있었는데 미디어 이론과 배경이 중요함을 깨달았죠. 교수님의 의견을 듣고 생각을 정리하며 많이 성장할 수 있었어요. 특히 <미디어철학> 강의가 많은 도움이 됐죠. 철학과 현대 산업이라는 두 영역을 깊이 이해하며 진로와 연관 지었어요. 중앙대에서 공부했기에 이 과정이 가능했다고 확신해요.”
 

  -유튜브에서 ‘뷰티, 일상 그리고 그 이상’이라고 자신을 나타냈다. ‘그 이상’은 무엇인지.
“한국을 세계에 알리는 영상 제작자가 오랜 꿈이었어요. 꿈을 이루기 위해 많은 영상을 만들어야겠다고 다짐하며 유튜브를 시작했죠. 뷰티와 일상 외 새로운 분야에 도전해 웹 무비, 웹 다큐,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영상 제작을 시도했어요. 이처럼 새로운 분야의 영상을 ‘그 이상’이라고 정의하게 됐죠.”
 

  -원하는 이상에 다가가고 있나.
“유튜브 산업에 종사하며 1인 미디어 플랫폼에 능숙해졌어요. 신선한 아이디어와 영상 편집 실력을 갖춰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각도로 바라볼 수 있게 됐어요. 예를 들면 전문적인 상업 영화를 제작하는 데 그치지 않고 또 다른 기획으로 연결할 수 있는 거죠. 이런 강점을 살려 기존 장르의 한계를 깨는 역동적인 콘텐츠를 제작하고 싶어요.”
 

  -기획하고 있는 콘텐츠가 있는지.
“‘당신의 일상 속에서 오로지 당신의 것을 찾아주겠다’라는 프로젝트를 시작하려고 해요. 처음에는 구독자 사연을 받아 내용에 맞는 메이크업을 해주는 기획이었어요. 그러던 중 운 좋게 ‘키뮤 스튜디오’와 인연이 생겨 전시 공간이 있는 카페를 장소로 제공받았죠. 사연을 바탕으로 전시 공간을 채우는 ‘확장된 예술’에도 도전하려고 해요. 이를 영상에 담아 많은 분과 의미를 나누는 콘텐츠도 만들고 싶고요.”
 

  -영상 편집 프로그램을 직접 개발 중이라고.
“시중에 있는 영상 편집 프로그램은 대부분 전문가용에 고가예요. 이런 상황에서 대중이 영상을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을지 의문이 생겼죠. 그래서 쉬운 편집 프로그램을 개발해 저렴하게 배포하기로 결정했어요. 이 프로그램으로 누구나 영상 제작이 가능한 문화에 이바지하려고 해요. 나아가 영상 제작이 개인의 삶을 어떻게 달라지게 하는지도 보여주고 싶어요.”
 

  -졸업 이후 계획은.
“‘킴닥스 스튜디오’ 목표 중 ‘영상을 통해 오프라인 경험을 제공한다’는 내용이 있어요. 오프라인으로 ‘대학 생활 백서’라는 책을 출판할 계획이에요. 저를 비롯한 많은 대학생이 대학 생활에서 얻은 경험을 실으려고 요. 단순 정보 전달이 아니라 독자가 자신의 이야기로 책을 채워가는 구성이죠. 대학 생활과 진로를 고민하고 결정할 때 방향을 제시하는 ‘선배’ 같은 책을 집필하고 싶어요.”
 

  -마지막으로 한마디 남긴다면.
“대학 생활은 ‘흰 종이에 서 있는 것’이라 생각해요. 종이에 그릴 그림의 내용부터 재료, 크기, 표현 방식까지 모두 본인에게 달려 있죠. 학우분들이 불안해하지 말고 자유롭게 그림을 그렸으면 좋겠어요. 실패가 크게 느껴질 수 있지만 우린 청춘이잖아요. 학교를 떠나는 시간이 왔을 때 완성된 그림이 생각과 조금 다르더라도 자신 있게 전시할 수 있었으면 해요. 부족해도 아름다운 청춘이니 그림을 마음에 잘 간직하고 다시 출발하기를 바라요.”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