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별 선거 과정에서 문제점이 드러나 재선거를 진행하던 제7기 교수평의원 선거가 끝내 최종 7인을 뽑지 못한 채 파행됐다. 현재까지는 각 대학(원)에서 새로 뽑은 평의원 후보자 60명만 있을 뿐이다. 교수평의원 7인을 최종적으로 선출하는 과정이 언제 재개될지는 불투명한 상태다.

  이번 선거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는 크게 두 가지다. 교수평의원 후보자를 선출하기 위한 대학(원)별 선거에서 직접선거를 하지 않거나 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를 온전히 구성하지 않는 것이다. 직접선거를 하지 않은 대학(원)은 총 10곳이다. 그중에는 이메일을 통해 후보자 선출 동의를 물은 대학도 있으며 후보자 선출에 총 책임이 있는 선거관리위원장이 대학 후보자로 선출되는 일도 있었다. 

  일부 교수들은 이번 일이 관행이었다며 사건을 무마하려 했으나 이는 스스로 적폐를 인정하는 일밖에 되지 않았다. 위법을 관행이라는 이름으로 덮을 순 없다. 잘못된 관행이 있다면 바로잡아야 하며 그것이 사회가 교수들에게 요구하는 역할이기도 하다.

  이후 대학본부의 법률자문 결과에 따라 문제가 드러난 대학(원)은 재선거를 시행해 60명의 교수평의원 후보자를 선출했으나 교수평의원 7인은 아직 선출되지 않았다. 본래 계획은 지난달에 최종 7인을 뽑는 선거를 진행했지만 일부 후보자가 절차상의 문제를 제기했고 교수평의원 선관위가 이를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재선거가 언제 이뤄질지는 아직 미지수다. 선거관리위원장은 오는 17일까지 외국 출장 중이며 교수평의원 선거관리위원의 의무가 아직 남아 있는 제6기 교수평의원 중 일부는 본인들이 계속해서 선거를 관리해야 하는지도 인지하지 못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대학평의원회는 학내 구성원 모두가 모여 대학 운영 전반을 심의 또는 자문하며 구성원들의 의사를 대학 운영에 반영시키는 유일한 공식기구다. 이러한 기구가 아직 제대로 구성되지 못했다는 것은 심의 절차가 진행되지 않아 대학행정이 원활히 움직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대학본부의 대학운영을 제대로 견제하지도 못 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이번 일이 중앙대 100년 역사에 큰 상처를 주었다는 점도 잊어선 안 된다. 민주주의는 구성원 스스로 주인으로서 권력을 행사하는 제도다. 권력을 행사하는 일 중 핵심은 대표자를 스스로 뽑는 일이다. 평의원 선출 또한 대학운영을 심의 또는 자문할 각 주체의 대표자를 뽑는 일이다. 이 일을 얼렁뚱땅하려고 한것은 스스로 주인이 되는 것을 포기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 주체가 교육자다. 학자로서 사회에서 존경받고 대학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교수라는 점은 교수사회 전체가 스스로 반성해야 할 일이다. 

  대학평의원회가 대학 자치, 학내 민주주의에서 차지하는 의미는 크다. 이제부터라도 바로 서야 한다. 교수평의원 선관위는 본인의 남은 의무를 충실히 하여 조속히 제7기 교수평의원을 선출해야 한다. 또한 새로 구성되는 제7기 대학평의원회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드러난 법률상의 문제를 바로 잡고 임기 동안 그 역할을 충실히 이행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