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에 가족과 함께 좋은 작품이라 평을 받는 영화 <박열>(이준익 감독)을 봤다. 영화를 보면서 주인공 박열의 자유로운 영혼과 치열한 삶에 깊은 감동을 하였다. 그리고 그 영화에서 만난 또 다른 주인공, 박열의 동지이자 연인인 가네코 후미코의 매력에 빠져 그녀의 옥중 유고인 『나는 나』를 구해 읽게 됐다. 무책임한 부모로부터 버려지고 일본 사회의 가부장제 폐악에 한껏 시달려온 한 여성의 고통스러운 인생 기록을 마주하면서 나는 그 처절한 아픔의 일대기에 다시금 사로잡혀버렸다.

  영화 <박열>의 스토리를 잠깐 소개하자면 주인공 박열(이제훈 분)은 항일 무정부주의운동단체 비밀결사인 ‘불령사’를 조직한 장본인이다. 이들은 일본 제국주의의 심장인 동경에서 독립운동을 모의한다. 독립운동을 계획하던 중 1923년 관동대지진을 배경으로 일본 내각은 6천여 명의 조선인들에 대해 무자비한, 학살사건을 자행한다.

  이 사건을 은폐하기 위해 일본 내각은 황태자 폭탄암살사건의 주모자로 불령사를 지목한다. 하지만 박열과 불령사는 일제의 억압에 굴하지 않고 일본이 조작한 재판에서 당당하게 맞서는 태도를 보여준다. 그 결과 당시 재판은 오히려 일본 파시즘의 끔찍한 만행을 식민지 조선과 국제사회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된다. 결국 그들은 사형을 선고받게 되지만 개의치 않는 조선인의 담대한 기개를 시원스럽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영화에는 박열의 「개새끼」라는 시를 읽고 매료되어 박열과 계약 동거와 이념 운동을 함께 했던 가네코 후미코(최희서 분)가 등장한다. 영화에서 그는 박열의 혁명 동지를 자청하며 재판에 공범으로 나서고 결국 옥중에서 목을 매어 짧은 생을 마감하는 장면까지 그려지고 있다.

  가네코 후미코의 『나는 나』는 그가 부모로부터 버림받은 사연, 조선의 고모 집에서 더부살이하던 수난의 생활기록이 담겨있다. 그리고 그가 다시 동경으로 돌아와 독립하여 살며 신문팔이, 노점상인, 식모살이 그리고 거리 노숙 등과 같은 밑바닥 삶의 경험들에 대해 그녀가 남긴 소망대로 담담하게 서술하고 있다.

  영화 <박열>과 책 『나는 나』를 통해 만난 두 실존 인물은 웃을 수도 울 수도 없는 많은 사연들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크나큰 감동을 안겨주었던 것은 그들의 진홍빛 당당함이었다. 일본 제국주의 시대의 무자비한 국가폭력과 사회적 불의에 전연 굴하지 않고 오히려 이에 당당하게 맞서는 두 청춘 남녀의 불꽃같은 삶의 모습을 보니 가슴 저리도록 뭉클했다.

  재판장이 사형을 선고하자 박열은 “재판장, 수고했네. 내 육체야 자네들 마음대로 죽일 수 있겠지만 내 정신이야 어찌하겠는가”라고 답하였고 가네코 후미코는 “만세”를 외쳤다고 한다. 지난 역사에 가려진 두 젊은이는 엄혹한 시대 속에서 “나는 개새끼로소이다” 그리고 “나는 나다”라고 당당하게 외치며 살아나갔다. 그 기록으로부터 청춘의 위대함을 다시금 되뇌어보는 벼락같은 감동을 느껴본다.

이병훈 교수

사회학과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