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자회의가 다시 수면 위로 올라왔다. 교무위원회에서도 이틀에 걸쳐 해당 사안을 논의했다. 새로운 소통기구 신설 등 여러 의견이 제시됐지만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최근 대학본부가 소통 강화를 위해 여러 정책을 내놓았음에도 계속해서 대표자회의의 존속, 소통기구의 신설 등이 논의되는 것은 구성원들이 아직 소통의 갈증을 느낀다는 방증이다.


  김창수 총장은 QS 사태 이후 소통을 강화하겠다며 교무위원회·대학운영위원회 등 각종 위원회의 확대, 학·처장 중심 행정시스템 구축 등을 약속했다. 이 중 교무위원회에 대학언론이 참관하는 것은 교무·학사에 관한 중요사항을 모든 구성원이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하지만 이외의 다른 정책들은 큰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교무위원회·대학운영위원회의 확대는 대학본부 내부의 소통만을 강화한 것이지 구성원 전체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제도는 아니다. 학·처장 중심 행정시스템도 말만 있을 뿐 달라진 것은 없다. 학(원)장의 책임 행정을 위해서는 단대별 운영위원회 제도화, 부학장제도 도입 등 단과대학 구성원의 의견이 학(원)장에게 전달 될 수 있는 시스템이 뒤따라야 한다. 또한 체계적인 의견수렴을 위해 학내 대표자들이 모여 학교법인과 대학본부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고 비판과 감시를 하는 대학평의원회의 권한 강화와 물적·인적 지원도 이뤄져야 한다. 


  숙의할 시간이 부족한 것도 문제다. 광역화 제도, PRIME 사업 등 학사 구조를 개편하는 과정에서 구성원 전체가 함께 논의한 시간은 1년도 되지 않는다. 아무리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고 대학도 이에 발맞춰 대응해야 한다고 하지만 학사 구조를 개편하는 일을 손바닥 뒤집듯 쉽게 결정해선 안 된다. 학사 구조개편으로 대학의 경쟁력, 문화 등이 총체적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해당 학사 구조개편이 대학의 지향점과 일치하는지, 개편 이후 생기는 문제점은 없는지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지난 광역화 제도로 인해 학생들이 피해를 보았고 구성원 간의 불신도 높아졌다. 캠퍼스 간 정원이동 결정 역시 이동할 정원의 규모, 정원이동에 따른 안성캠퍼스 학문단위의 변화 등 여러 문제가 얽혀있지만 중앙대에 허용된 시간은 짧기만 하다.


  논의과정에서 정보를 제한적으로 공개하는 점도 아쉽다. 몇몇 단과대학은 전공개방 모집제도의 내부 합의를 마쳤다. 여기서 내부 합의는 몇몇 교수 대표와 학생 대표만을 의미한다. 단과대학 모든 구성원에게 해당 내용이 공유되진 않았다. 대표자들의 책임은 의견을 수렴해 정책에 반영시키는 것뿐 아니라 결정한 사항을 구성원들에게 설명하고 그에 따른 피드백을 반영하는 데까지다.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구성원 개개인이 스스로 판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민주주의의 핵심이다.


  구성원들의 다양한 이해를 모아 하나의 합의안을 도출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대학 공동체는 구성원 전체가 함께 만들어 가는 곳이다. 구성원의 합의가 없다면 아무리 좋은 제도라도 실패하기 마련이다. 중앙대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끊임없는 소통과 투명한 의사결정은 필수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