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교육부는 2주기 대학구조개혁 평가방안을 발표했다. 이전 정부의 기존안을 일부 수정하여 권역별 평가를 더 세분화한 안이다. 다음달에는 재정지원사업 개편방안(시안) 또한 공개할 계획이라고 한다. 문재인 정부가 고등교육 개혁을 가시화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이전 같은 대학 개혁이 반복돼선 안 된다. 학령인구 감소는 거스를 수 없는 현상일 뿐 문제의 본질이 아니다. 우리가 논의해야 할 것은 어떤 지식이 유망한가가 아니라 어떤 변화에도 적응할 수 있는 인재를 가르칠 방법이다.
 
  우선, 강의실 내의 교육부터 뜯어고쳐야 한다. 선진국의 학문과 지식을 답습하는 것이 발전을 견인하던 시대는 끝났다. 대학 개혁은 실질적인 교육력을 증대시키는 방향이어야 한다. 사회 변화는 전례 없이 빨라졌고 지식의 수명 역시 짧아졌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절대평가로 전환된다는 것 또한 더이상 지식축적은 유의미한 경쟁이 아니라는 방증이다.
 
  대신 강의실엔 의심이 가득해야 한다. 대학은 무엇이 최선인지, 더 나은 방식은 없는지 생각하고 고민할 동기와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질문과 토론을 통해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지식을 통섭적으로 연결해 변화를 선도하는 인재가 필요하다. 주입식, 암기식, 문제풀이식 교육을 유지하는 대학은 과감한 진화를 단행해야 한다. 지금의 강의실엔 미래가 없다.
 
  또한 학문단위 개편에서 답을 찾아선 안 된다. 특정 학문단위를 늘린다고 교육력이 증대되진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사회 수요에 발맞춰 대학의 특질을 개선한다는 발상도 무의미하다. 정부는 그간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PRIME) 사업’이나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지원 사업’ 등 재정지원사업을 통해 이공계 정원을 확대하는 개혁을 실행해왔고 대학들은 이에 맞춰 편중된 구조조정안을 단행해왔다.
 
  그러나 대학에서 배운 지식으로 평생 먹고 사는 시대는 끝났다. 중요한 것은 유망 학문을 예측하는 것이 아닌 인재의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대학 개혁은 몰개성만 낳았다. 대학의 차별화된 특성을 인정하고 교육 방식을 개혁하는 것이 변화무쌍한 새 시대를 대비하는 방법이다.
 
  교육은 백년대계라는 말을 우습게 봐선 안 된다. 내일만 좇다간 만년 후발자일 뿐이다. 나라를 나라답게 만드는 일에 대학 개혁은 성패를 가르는 척도가 될 것이다. 이제 구태의연한 지식에 기대어 변화를 거부하는 대학과 이를 방관하는 개혁은 필요 없다. 대학다운 대학을 만드는 개혁이 이뤄지길 바란다.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