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를 하면서 당황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바로 사안에 대한 소관이 어느 정도 있다고 생각한 취재원이 일명 ‘부서돌리기’를 할 때입니다. 이번 취재를 하며 기자는 적잖케 당황을 했습니다. 누구도 총여학생회(총여)의 위기에 책임을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일부 학생들의 권리를 위한 공식기구가 사라지고 있는데도 아무도 관여하지 않는 현실이었습니다. 
 
  언제부터인가 ‘총여학생회의 위기’라는 말이 심심찮게 들립니다. 과거보다 여권이 신장되면서 한쪽 성만의 입장을 대변할 조직이 필요한가 하는 의문이 일각에서 제기됐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선거 시즌이 되면서 기자는 조금 다른 의문을 가지게 됐습니다. 총학생회부터 단과대까지 선거활동으로 학교가 시끌벅적한데 반해 유난히 총여에 대해서는 잠잠하기 때문입니다. 총여의 위기가 과연 여권신장이라는 사회적인 변화에 의해서만 만들어지는 것일까요.
 
  이번 총여가 또다시 부재로 남게 됐습니다. 심지어 이번엔 총여 선관위조차 구성되지 못했죠. 총학차원의 해결을 기대했지만 총학 측에서는 ‘원칙상 불가능’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총여 선관위의 자치적인 세칙에 간섭할 수 없다는 것이죠. 물론 총여가 총학과 분리된 자치기구이기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중선관위)의 관할이 아니라는 점은 명백합니다. 하지만 총학의 입장은 어딘가 모르게 회피적으로 들립니다. 그렇다면 지난 몇 년간의 총여 선거는 어떻게 이루어진 것이고, 무엇보다 중선관위가 아니라면 총여의 앞날을 누가 담당해야 하는 것인지 의문이 제기되기 때문입니다. 
 
  공석이 잦았던 서울캠 총여가 과거 어느 때보다 큰 위기를 맞았습니다. 총여 폐지설까지 거론되고 있지만 여전히 필요하다는 주장도 팽팽히 맞서고 있습니다. 여성에 대한 불평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여성의 권리를 대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죠.
 
  대표자라면 때로는 유동적인 원칙주의자가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학생 모두의 이해관계를 만족시켜줄 순 없지만 혹시 모를 소수의 필요를 배제해서도 안 되기 때문입니다. 총학은 총여의 상황을 묵시해서는 안 됩니다. 계속해서 원칙을 고수한다면 누군가의 필요에 대한 직무유기가 되겠지요.
 
  ‘총여학생의 위기’는 누가 만드는 것일까요. 총여의 존립에 의문을 제기해야 할지 학생 대표자들의 책임에 의문을 제기해야 할지는 고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 누구도 총여의 위기를 만들지 않아 총여의 입지가 위태로운 것은 아닐까요.
 
 
저작권자 © 중대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